[건강] 여성의 생애 주기 별 수면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오늘은 여성 수면의 특징과 생애 주기에 따른 수면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여성의 수면 특징
1.1. 객관적 특성
- 일주기 리듬: 남성보다 일주기 리듬의 주기가 짧아 경향적으로 1시간 일찍 자고, 수면 시간은 1시간 더 긴 경향을 보입니다.
- 각성 역치: 각성 역치가 낮아 작은 자극에도 쉽게 깨는 편입니다.
- 수면 데이터: 객관적인 수면 데이터(수면다원검사 등)는 남성보다 좋은 결과 값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 영향 요인: 감정 상태나 생리 주기와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수면이 영향을 받습니다.
1.2. 주관적 평가
- 객관적인 수면의 질과 별개로, 여성은 자신의 잠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는 반면, 남성은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 여성의 생애 주기와 수면 변화
2.1. 생리 주기와 호르몬
생리 주기에 따른 호르몬 변화는 여성의 수면에 영향을 미칩니다.
수면 시간이 6시간 이하인 여성은 생리 주기가 불규칙할 확률이 44%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생리 주기와 호르몬 변화가 발생합니다.
2.2. 임신
임신 중에는 호르몬 변화와 신체적인 불편함(배뭉침, 소변 등)으로 인해 수면의 질이 크게 저하될 수 있습니다.
2.3. 육아
아기와 함께 같은 침대에서 자는 것(Co-sleeping)은 아기와 부모 모두의 수면의 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육아 과정에서 각성 역치가 더욱 낮아져 작은 소리에도 쉽게 깨게 됩니다.
여성 스트레스의 주요 원인으로 남편, 자녀, 경제적 문제, 시댁/친정과의 관계 등이 꼽히며, 이는 수면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4. 갱년기 (평균 만 50세 전후)
여성호르몬 감소로 인한 신체적(안면홍조, 발한 등) 및 정서적(우울, 불안 등) 변화가 수면을 방해합니다.
자녀가 독립하는 등 환경적 변화로 인한 빈둥지 증후군(Empty Nest Syndrome)도 심리적 불안감을 유발하여 수면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2.5. 노년기
- 여성형 수면호흡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주로 불면증 증상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3. 갱년기 수면장애 극복 방법
3.1. 여성 갱년기:
호르몬 치료: 의사와 상담하여 여성호르몬 보충 요법의 도움을 받는 것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수면 만족도 높이기: 현재 자신의 수면 상태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만족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자기 돌봄 우선: 가족 구성원보다 자신의 건강과 안녕을 먼저 생각하는 태도가 중요합니다.
마음 관리 및 운동: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 마음을 편안하게 내려놓고, 규칙적인 운동을 생활화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3.2. 남성 갱년기: (참고)
남성도 갱년기에 남성호르몬 감소로 성욕 감퇴, 피로감, 근육량 감소, 우울감 등을 경험하며 수면 장애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변화 인정: 예전과 달라진 신체 및 수면 상태를 인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수면 문제를 더 많이 겪는 경향이 있습니다.)
수면 습관 관리: 규칙적인 수면 시간을 지키는 등 건강한 수면 습관을 확립해야 합니다.
운동: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전반적인 건강을 관리하는 것이 수면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3.3. 약물 치료 (참고)
벤조디아제핀 (Benzodiazepine): 의사의 처방에 따라 불안 및 불면증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중추신경계 억제 약물(안정제류)입니다.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 후 복용해야 합니다.
참조: "주은연의 편안한 잠, 건강한 삶_4. 여성의 생애 주기 별 수, EBS, 2023년 12월 4일
강사: 주은연(성균관대 의과대학 신경과 교수)
- 이화여대 의과대학 학사(1997.02)
- 이화여대 대학원 의학과 석사(2001.02)
- 이화여대 대학원 의학과 박사(2005.02)
- 성균관대 의과대학 신경과학 조교수(2007.05~2014.08)
- 성균관대 의과대학 신경과학 부교수(2014.09~2017.03)
- 성균관대 의과대학 신경과학 교수(2017.04~현재)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