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경영전략] 전략(Strategy)

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오늘은 전략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전략의 목적

  • 전략이란 목표 시장에 대해 일관성 있고 독특한 형태의 가치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BCG 창업자 브루스 핸더슨은 "어느 사업이 경쟁자들을 누를 만한 독특한 이점을 갖고 있지 못하다면 존립 할 근거가 었다"라고 경고했다.

경영관리상의 탁월성 vs 전략적 포지셔닝

  • 마이클 포터는 경영관리상의 탁월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전략을 갖추고 있다고 생각하는 기업들이 많다고 지적한다.
  • 경쟁자들과 같은 코스(경영관리상의 탁월성 추구를 의미)를 뛰고 있는 한 언제든지 경쟁자들에게 추월 당할 수 있다.
  • 중요한 것은 다른 코스(차별화된 전략적 포지셔닝 의미)로 달리는 일이다.
  • 이는 특정한 고객 집단과 특정한 욕구를 지닌 사람들을 대상으로 다른 형태의 여러 가지 편익과 효용성을 제공하는 기업들만이 전략을 갖추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차별한된 전략의 속성(쿠마르 니르말야의 3V)

  • 기업이 독특한 전략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가치 타깃(value target), 가치 제안(value proposition), 가치 네트워크(value network)를 가지고 있음을 말한다.
  • 가치 타깃(value target): 기업이 목표 시장과 고객의 요구를 분명하게 설정해야 함을 의미한다.
  • 가치 제안(value proposition): 시장에 내놓을 독특하면서도 승리를 거둘 수 있는 가치를 개발하는 것을 의미한다.
  • 가치 네트워크(Value Network): 가치를 목표 시장에 전할 독특한 공급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의미한다.
  • 3V를 갖춘 기업은 다른 기업이 쉽게 모방할 수 없다.
  • 차별화된 전략을 갖춘 기업들은 코스트를 낮추거나 높은 가격을 받을 수 있음. 또는 두 가지를 한꺼번에 이룰 수 있다.
  • 전략 개발을 위한 최선의 방법 중 하나는 타깃이 되는 고객층이 선호하는 것을 찾아내 그것을 충족시키기 위해 한층 노력하는 것이다.
  • 결국, 전략이란 특성과 디자인, 품질, 서비스, 코스트 등의 요소가 결합된 다소 특이한 형태의 합성체 여야 한다.

바람직하지 못한 전략

  • 과거의 전략: 과거의 성공 방식으로 굳어 있는 경우를 말한다. 
  • 보호주의: 정부의 정책을 통해 보호를 받는 경우를 말한다.
  • 마케팅 총력전: 가격 전쟁과 상호 파괴적인 대응을 하는 경우를 말한다.
  • 문제점에 대한 과도한 집착: 호기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여러 가지 문제를 키우는 경우를 말한다.
  • 명확한 목표의 부재: 추구하는 목표를 명확하게 제시하지 못하거나 우선순위를 정하지 못하는 경우를 말한다.
  • 인수, 합병에 대한 의존: 혁신보다 인수, 합병에 바탕을 둔 성장 계획을 수립하는 경우를 말한다.
  • 중도적 전략: 전략적으로 어중간한 상태(차별화나 원가 우위 모두를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에 빠지는 경우를 말한다.


참고문헌
필립 코틀러, 「필립 코틀러의 마케팅 A to Z」, 홍수원 역, 서울: 세종연구원, 20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