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가격 전략인 게시물 표시

[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실시간 가격 책정을 위한 단계별 가이드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AI를 활용해 온/오프라인 상점에서 상품의 가격을 수시로 조정하는 역량은 리테일 업계에서 경쟁하기 위한 필수 요소다. 하지만, 판매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이 존재하지만 경쟁사 제품 가격만 주로 고려 하는게 현실이다. 이에 저자들은 경쟁사 가격뿐만 아니라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최적의 가격을 책정할 수 있는 AI기반 가격 모델을 구축하는 단계별 프로세스를 본 Article에 담았다. 본 아티클에서 등장하는 중국 리테일 업체는 저자들과 함께 일한 적이 있는 젖병과 기저귀, 유축기 등 육아용품 분야를 선도하는 중국 온라인 업체이다. 미국 온라인 리테일 업체는 저자들과 협업한 침대, 커피 테이블, 러그, 장식품 등 홈 가구 제품을 주로 유통하는 업체이다. 1단계: 집중할 제품 선택하기 1.1. 매출 집중도 분석 몇 개 안 되는 제품에서 매출의 80% 이상이 나온다면 최고 인기 제품에 먼저 적용한다. 홈 데코 및 식료품 리테일 업체처럼 특정 제품에 매출이 쏠려 있지 않고 고르게 분포돼 있다면 중간 정도 제품 혹은 롱테일 제품에 먼저 적용한다. 중국 온라인 리테일 업체는 젖병 카테고리에서 상위 30개 SKU에 AI 가격 책정 모델을 적용하여 매출을 11% 증가시켰다. 미국 온라인 리테일 업체는 1만 개가 넘는 제품에 역동적인 가격 대응 시스템을 적용하여 4개 카테고리에서 매출과 이익을 각각 15%, 10% 증가시켰다. 1.2. 상위 판매 제품에 집중 vs 광범위한 제품에 집중 이는 알고리즘 정교화(sophistication) vs 확장 가능성(scalability)의 선택 문제라고 할 수 있다. 1.3. ABC 분류 시스템 활용 매출 기여도가 높은 A그룹에는 정교한 모델, 나머지는 확장형 모델을 적용한다. 2단계: 소비자 결정 모델 구축하기 2.1. 구매 결정 요인 파악 가격 외에 품질, 재고, 브랜드 평판, 제품 사용 후기, 공급업체 신뢰도, 구매 편의성, 소매점 환불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다. 2.2. 소비자 결정 모델 개발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