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화폐금융인 게시물 표시

[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경제] 달러 패권과 결제시스템

이미지
 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본 글은 스탠퍼드 대학교 경영대학원 재무학과 교수인 대럴 더피의 강연 내용을 바탕으로 달러 지배력 유지에 있어 결제 시스템 기술의 역할,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CBDC)의 부상, 분산형 결제 시스템, 그리고 미국이 직면한 과제와 기회에 대해 상세히 검토합니다. 1. 달러 지배력과 결제 시스템의 진화  미국은 역사적으로 달러의 세계적 지배력을 의도적으로 지지해 왔으며, "강대국은 강력한 통화를 가진다"는 원칙을 고수해왔다.   현대에는 기술이 달러 지배력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1.1. 전통적인 은행 기반 결제 시스템  1500년대 초 베네치아의 지로(Giro) 은행에서 시작된 '지로 은행' 또는 '서킷 은행' 방식은 한 은행 계좌에서 금액을 인출하여 다른 은행 계좌로 입금하는 방식으로, 현재까지 국내외 결제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1.2. 기존 시스템의 한계   그러나 기존 은행 기반 결제 시스템은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느린 처리 속도: "판매자가 돈이 들어온다는 지시를 받아도 돈을 받기까지 며칠이 걸립니다." 높은 수수료: 신용카드를 통한 결제는 카드 회사와 은행이 수수료 명목으로 상당한 금액을 떼어간다. 유럽과 같은 다른 지역에서는 이러한 수수료가 미국의 1/8 수준이어서 핀테크(금융과 정보통신기술이 융합된 서비스) 업체가 시장으로 진출하기에 더욱 용이하다. 미국의 높은 수수료는 미국 결제 시스템의 발전에   걸림돌로 작용한다. 경쟁 부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