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와인인 게시물 표시

[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음식] 미쉐린 가이드와 소믈리에의 역할, 한국의 와인 시장과 관련 행사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본 글은 EBS [정하봉의 행복한 순간에는 와인이 필요하다] 10강. 소믈리에가 전하는 행복한 와인생활을 시청후 요약한 글입니다. 이번 글이 마지막 글입니다. 이 글을 읽는 모든 분들의 와인에 대한 지식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되었으면 합니다.

[음식] 와인을 사랑한 세계적 명사들과 1등 와인, 그리고 스페인 와인

이미지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이 글에서는 와인을 사랑한 세계적 명사들이 누구가 있는지 알아보고, 일등 와인은 어떻게 선정되는지, 그리고 앞에서 다루지 않았던 스페인 와인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1. 와인을 사랑한 세계적 명사들 1.1. 엘레오노르(Eleanor of Aquitaine, 1122~1204) 아키텐 공국의 공주. 헨리왕과 결혼시 보르도 와인을 지참금으로 가져갔다. 보르도 지역이 영국 땅이 되면서 영국으로 수출길이 열리게 되었고, 수출을 위해 고품질 와인을 제조하게 되었다. 보르도 지역을 불씨로 영국과 프랑스의 백년 전쟁(1337~1453)이 발발하였다. 1.2. 태양왕 루이 14세(Louis XIV, 1638~1715) 프랑스 국왕. 베르사유 궁전에서 권력자들과 부르고뉴 와인을 음용했다. 오늘날 부르고뉴 와인의 명성을 있게 한 장본인이다. 1.3. 나폴레옹 보나파르트(Napoleon Banaparte, 1769~1821) 프랑스 제1통령이자 황제. 부르고뉴 지역의 쥬브레 샹베르탱(Gevrey Chambertin)의 애호가였다. 1.4. 구스타브 에펠(Gustave Eiffel, 1832~1923) 에펠탑의 건축가 부르고뉴 와인의 애호가였다. 1.5. 메디치 가문 중세 이탈리아의 유력 가문. 법적인 정보와 각종 지원을 했다. 끼안티 와인의 초석을 다졌다. 1.6. 어니스트 헤밍웨이(Ernest Hemingway, 1899~1961) 미국 소설가이면서 언론인. 1953년 퓰리처상, 1954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1등 와인인 샤토 마고의 애호가였다. 1.7. 프랑수아 미테랑(Francois Mitterrand, 1916~1996) 프랑스 최장기 집권 대통령(임기: 1981~1995). 보르도 와인의 애호가였다. 1973년도 샤토 무통 로칠드가 2등급에서 1등급으로 결정되었다. 1.8. 토머스 제퍼슨(Thomas Jefferson, 1743~1826) 미국 제3대 대통령 미국인 중 프랑스의 명품 와인들의 진가를 알아볼 기회가 많았다. 2. 일등 ...

[음식] 와인 용어와 보관 Tip, 그리고 컬트 와인

이미지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와인 용어와 와인을 보관하는 방법, 컬트 와인, 

[음식] 음식과 와인의 궁합(마리아주)

이미지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이 글은 EBS '정하봉의 행복한 순간에는 와인이 필요하다' 7강. 음식과 와인의 행복한 마리아주를 시청하고 요약한 글입니다. 1. 음식과 와인의 행복한 만남 1.1. 음식 & 와인 페어링 팁  음식과 와인 페어링의 팁으로는 신토불이의 원칙이 있다. 예를 들면  까르보나라는 이탈리아 와인 적절한 산도를 가진 끼안띠와 페어링 하는 게 좋다. 1.2. 음식의 무게감(Body)에 따라 와인을 선택 비슷한 무게감의 음식과 와인을 페어링 할 경우 맛의 만족도가 상승한다. 식전주로는 샴페인이 좋다. 가벼운 전채 요리는 가벼운 무게감의 화이트 와인과 어울린다. 메인 식사는 음식의 무게감에 따라 페어링 해야 한다. 1.3. 생선 요리와 육류 요리 생선 요리는 생선 비린내를 잡아주는 화이트 와인과 페어링 하는게 좋다. 육류 요리는 레드 와인과 페어링 하는게 좋다. 육류에 레드 와인을 곁들일 경우 고기 육질은 부드러워지고 와인의 떫은 맛은 중화된다. 1.4. 음식의 소스를 고려해 와인을 선택 2. 와인을 더 맛있게 마시는 방법 2.1. 디캔팅(decanting) 디캔팅이란 병에 든 와인을 디캔터로 옮겨 담는 것을 말한다. 에어레이션(aeration) / 브리딩(breathing): 와인을 공기와 접촉 시켜 와인이 가진 여러 복합미를 발산시키는 과정이다. 디캔팅을 하는 이유 미성숙한 와인을 최적의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이다. 침전물, 주석산(여러 과일 중 특히 포도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흰색 결정의 유기산) 등 와인 속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서이다. 좋은 식사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서이다. 2.2. 와인의 풍미를 끌어올리는 와인 글라스 얇으면 얇을 수록 좋다. 와인 글라스의 종류 글라스의 종류 와인 글라스의 모양 글라스의 모양 보르도 스타일: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와인잔 모양이다. 부르고뉴 스타일: 부르고뉴의 대표 품종은 피노누아로서 피노누아가 가진 특성인 섬세함과 와인의 향기를 가득 담기 위해 튤립 모양 스타일을 사용하였다....

[음식] 와인의 다양한 분류법과 테이블 매너

이미지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이 글은 EBS '정하봉의 행복한 순간에는 와인이 필요하다' 6강. 실전! 비즈니스 와인 테이블를 시청후 요약한 글입니다.

[음식] 이탈리아 와인과 위대한 와인의 조건

이미지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탈리아 와인과 위대한 와인의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와인 역사의 시작, 이탈리아 1.1. 안젤로 가야(angelo gaja, 1940~) 이탈리아 피에몬테 와인 생산자 가야의 전 대표이다. 보르도 유학을 한 후 돌아와서 와인을 혁신 하였다. 2,475리터 용량의 오크 보티(oak botti)를 225리터 용량의 바리크(barrique)로 변경 도입하였다. 안젤로 가야의 혁신으로 이탈리아 와인의 르네상스가 시작되었다. 1.2. 이탈리아의 주요 산지 이탈리아의 주요 산지 토착 품종 위주로 발달하였다. 이탈리아 와인의 왕으로 불리는 바롤루와 이탈리아 와인의 여왕으로 불리는 바르바레스코의 주 품종은 피에몬테의 토착 품종인 네비올로(Nebbiolo)이다. 피에몬테의 아스티 지역(Asti)은 뮈스카(Muscat)라는 화이트 품종으로 제조 중인 피에몬테 아스티의 스파클링 와인 모스카토 다스디가 유명하다. 베네토 지역은 소아베(Soave) 지역의 화이트 와인이 유명하다. 포도를 반건조해서 만드는 발폴리첼라 와인을 아마로네가 제조한다. 토스카나 지역의 대표 와인은 끼안띠라 할 수 있다. 이 와인의 품종은 산지오베제이다. 1.3. 이탈리아 와인의 혁신 몇 몇 와인 생산자들이 중부 지역에서 볼게리(Bolgheri)라는 해안가로 가서 혁신을 시작하였다. 국제 품종인 카베르네 쇼비뇽과 카베르네 프랑, 메를로와 산지오베제를 블렌딩하였다. 사시카이아: VDT 등급으로 판정받았다. 1978년 카베르네 쇼비뇽 콘테스트에서 최고 와인으로 선정되었고 혁신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1960년 이후 많은 혁신을 통해 이탈리아 와인은 재기에 성공한다. 이탈리안 와인 등급 분류 2. 로버트 파커 미국의 와인 평론가이면서 메릴랜드주의 변호사이다. 여자친구를 따라서 프랑스 여행 중에 와인에 빠지게 되었다. 1978년 발간했던 <와인 애드보케이트>라는 잡지는 본인이 테이스팅 했던 와인 노트를 위주로 발간되었다. 와인 ...

[음식] 신세계 5개국 와인(호주, 뉴질랜드, 남아프리카공화국, 칠레, 아르헨티나)

이미지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이 글은 EBS '정하봉의 행복한 순간에는 와인이 필요하다] 4강. 구세계에서 신세계로 5개국 와인 여행'을 시청 후 요약한 글입니다. 이 글을 통해 신세계 와인들에 빠져 봅시다.

[음식] 미국 와인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의 와인에 대해서 알아볼 것입니다. 1. 좋은 와인의 조건:  하늘과 땅과 사람이 조화 하늘과 땅과 사람이 조화를 이루어야 좋은 와인이 탄생한다. 좋은 포도를 재배하기 위해서는 날씨가 허락되어야 한다. 포도나무가 뿌리 내린 지역의 토양의 특징을 살펴보면 척박한 토양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좋은 포도의 조건 중 하나는 척박한 토양이다. 사람은 포도의 수확을 결정한다. 포도의 수확 시기에 따라 포도의 질이 결정된다. 2. 파리의 심판 파리의 심판이란 1976년 파리에서 열린 프랑스와 미국의 와인 시음회에서 생긴 사건을 말한다. 미국 와인과 프랑스 그랑 크뤼 등급 와인간 비교 테스트가 시행되었다. 화이트 와인(샤토 몬텔레나)과 레드 와인(스텍스립) 테스트에서 미국 와인이 예상을 깨고 1등을 차지하였다. 로버트 몬다비(1913~2008): 많은 개혁적인 기법을 도입해 미국 와인의 품질 혁신을 이끈 인물이다. 파리의 심판이 있게 한 배경이다. 3. 미국의 와인 신세계 지역의 대표 와인이라고 할 수 있다. 동부의 이민자들이 서부를 개척하는 과정에서 포도나무도 같이 이동 시키면서 탄생하였다. 프란치스카 수도회가 남쪽에서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탄생하였다. 위의 두 가지 역사의 결합으로 캘리포니아 지역의 와인이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캘리포니아 지역의 와인은 미국 와인 생산량의 90%를 차지한다. 로버트 파커(미국 변호사 출신) 와인 평론가가 와인 평가제를 도입 하였다. 와인 스펙테이터라는 와인 잡지가 세계 100대 와인을 선정하고 있다. 최근에는 전 세계 와인 시장을 미국이 선도하기 시작했다. 미국의 대표적인 와인 산지는 나파 밸리로서 인디언말로 풍요로운 땅이라는 뜻이다. 캘리포니아 생산량의 5%를 차지하지만, 와인 금액으로는 30%를 차지한다.  미국 프리미엄 와인 생산지이다. 컬트 와인(Cult Wine): 캘리포니아 나파 밸리에서 소량 생산되는 고품질 와인이다. 실리콘 밸리의 부호 들이 소비의 배경이 되고 있다...

[음식] 와인 기초 용어와 프랑스 와인

이미지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와인의 기초 용어와 와인의 대명사인 프랑스 와인의 품종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음식] 와인의 산지와 레드 와인 대표 포도 품종

이미지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본 글에서는 제조법에 따른 술의 분류와 포도의 품종에 따라 와인이 어떻게 분류되는 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제조법에 따른 술의 분류: 양조주, 증류주, 혼성주 1.1. 양조주 곡류나 과일을 발효하여 제조한 술이다.  평균적으로 알콜 도수 20도 미만이다.  맥주, 막걸리, 와인 등이 양조주에 속한다. 1.2. 증류주 물과 알코올의 끓는 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발효된 액체를 고온에서 가열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다시 응축하여 만드는 술이다. 종류 위스키(whisky): 맥아가 주원료인 증류주이다. 양주의 대표 명사이다. 스코틀랜드가 대표 국가라 할 수 있다. 몰트 위스키 : 보리를 증류 그레인 위스키 : 다른 곡물을 증류 블랜디드 위스키 : 두 위스키를 혼합 브랜디: 과일이나 과실주를 증류한다. 코냑(cognac)이 대표적이다. 진(gin): 무색 투명한 알코올에 상쾌한 향을 가진다. 마티니의 베이스가 된다. 보드카(vodka): 무색, 무취, 무미의 고 알코올 증류주이다. 럼(rum): 사탕수수가 원료이다. 화려한 칵테일이 럼에 해당된다. 테킬라(tequila): 용설란(agave)이 원료인 멕시코 전통주를 말한다. 1.3. 혼성주(liqueur) 알코올에 당분 첨가한 술이다.  칵테일에 주로 사용된다. 2. 와인의 산지 와인의 산지는 와인 벨트(적도 기준 위도 30도와 50도에 걸쳐 있는 지역)라 불리는 곳에 분포되어 있다. 세계 와인 생산 지역 2.1. 유럽(구세계) 와인은 그리스, 로마 시대부터 음용되었다 구세계 와인의 특징 전통을 중시한다. 생산지명을 중시한다. 떼루아를 중시한다. 복잡한 맛이다. 와인은 예술적이라고 표현한다. 2.2. 신세계 17세기 이후 유럽이 전세계를 식민지화 하면서 식민지에 포도나무(기독교에서는 와인이 예수의 피를 의미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를 심었다. 미국, 호주, 뉴질랜드, 남아공, 칠레, 아르헨티나가 신세계에 해당된다. 신세계 와인의 특징 혁신적(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