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음식] 와인을 사랑한 세계적 명사들과 1등 와인, 그리고 스페인 와인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이 글에서는 와인을 사랑한 세계적 명사들이 누구가 있는지 알아보고, 일등 와인은 어떻게 선정되는지, 그리고 앞에서 다루지 않았던 스페인 와인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1. 와인을 사랑한 세계적 명사들

1.1. 엘레오노르(Eleanor of Aquitaine, 1122~1204)

  • 아키텐 공국의 공주.
  • 헨리왕과 결혼시 보르도 와인을 지참금으로 가져갔다.
  • 보르도 지역이 영국 땅이 되면서 영국으로 수출길이 열리게 되었고, 수출을 위해 고품질 와인을 제조하게 되었다.
  • 보르도 지역을 불씨로 영국과 프랑스의 백년 전쟁(1337~1453)이 발발하였다.

1.2. 태양왕 루이 14세(Louis XIV, 1638~1715)

  • 프랑스 국왕.
  • 베르사유 궁전에서 권력자들과 부르고뉴 와인을 음용했다.
  • 오늘날 부르고뉴 와인의 명성을 있게 한 장본인이다.

1.3. 나폴레옹 보나파르트(Napoleon Banaparte, 1769~1821)

  • 프랑스 제1통령이자 황제.
  • 부르고뉴 지역의 쥬브레 샹베르탱(Gevrey Chambertin)의 애호가였다.

1.4. 구스타브 에펠(Gustave Eiffel, 1832~1923)

  1. 에펠탑의 건축가
  2. 부르고뉴 와인의 애호가였다.

1.5. 메디치 가문

  • 중세 이탈리아의 유력 가문.
  • 법적인 정보와 각종 지원을 했다.
  • 끼안티 와인의 초석을 다졌다.

1.6. 어니스트 헤밍웨이(Ernest Hemingway, 1899~1961)

  • 미국 소설가이면서 언론인.
  • 1953년 퓰리처상, 1954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1등 와인인 샤토 마고의 애호가였다.

1.7. 프랑수아 미테랑(Francois Mitterrand, 1916~1996)

  • 프랑스 최장기 집권 대통령(임기: 1981~1995).
  • 보르도 와인의 애호가였다.
  • 1973년도 샤토 무통 로칠드가 2등급에서 1등급으로 결정되었다.

1.8. 토머스 제퍼슨(Thomas Jefferson, 1743~1826)

  • 미국 제3대 대통령
  • 미국인 중 프랑스의 명품 와인들의 진가를 알아볼 기회가 많았다.


2. 일등 와인은 어떻게 선정되는가

2.1. 파리의 심판

  • 파리의 심판이란 1976년 파리에서 열린 프랑스 와인과 미국의 와인을 비교시음한 사건을 말한다.
  • 미국의 화이트 와인 샤토 몬텔리나와 레드 와인 스택스입이 프랑스의 명품 와인들을 제치고 1등을 차지하였다.

2. 와인 스펙테이터

  • 와인 스펙테이터에서 1988년부터 100대 와인을 선정해오고 있다.
  • 현재는 소비자들이 합리적인 가격에 선택할 수 있는 100대 와인을 선정하고 있다.
  • 2만종의 와인을 시작으로 와인 전문가 100명(5명씩 1팀)이 6개월이라는 기간 동안 시음하고 평점을 매겨 90점 이상인 6,000종을 1차로 선발한다. 2차로 그 중에서 다시 100위를 선정한다. 마지막으로, 최종 1등을 선정한다. 
  • 일등 와인은 지역 와인의 품질 향상과 큰 마케팅 효과를 불러일으킨다.
  • 100대 와인 선별 기준은 아래와 같다.
  1. 가격 대비 품질의 가치
  2. 와인 생산량
  3. 매력도와 창의성
  • 주요한 연도별 1위 와인 리스트
    • 2023년 1위 와인: 아르지아노 브루넬로 디 몬탈치노 2018(이탈리아)
    • 2022년 1위 와인(나파밸리): 슈레이더 셀러스 카베르네 쇼비뇽 오크빌 더블 다이아몬드 2019(나파밸리)
    • 2021년 1위 와인(나파밸리): 도미누스 에스테이트 2018
    • 2020년 1위 와인(스페인): 마르케스 데 무리에따 카스틸로 이가이 그란 리제르바 에스페시알 2010
    • 2019년 1위 와인: 샤토 레오빌-바르통(생 줄리앙이라는 매독의 하부 지역의 2등급 와인)
    • 2018년 1위 와인: 테누타 산 귀* 사시카이아 2015
    • 2016년 1위 와인: 루이스 카베르네 쇼비뇽 나파 밸리 2013
    • 2015년 1위 와인(나파밸리): 피터 마이크 카베르네 쇼비뇽 오크빌 오 파라다이스 2012
    • 2014년 1위 와인(포르투갈의 포트 와인): 다우 빈티즈 포트 2011
    • 2001년 1위 오르넬라이아
    • 2000년 1위 솔라이아


3. 스페인 와인

  • 스페인은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포도 재배 면적을 가진 국가이다.
  • 스페인 와인의 주요 산지는 아래의 그림과 같다.
스페인 와인의 주요 산지
  • 리오하와 리베라 델 두에로 지역에서 스페인 토착 레드 와인 품종인 템프라니요(Tempranillo)를 생산한다.
  • 헤레스 지역의 대표 와인은 셰리 와인(Sherry wine)이다.
  • 스페인 와인 등급의 특징
  1. 4개 등급으로 구성
  2. 와인의 숙성 기간에 따른 등급을 추가로 분류: 크리안자(Crianza) → 리제르바(Reserva) → 그란 리제르바(Gran Reserva)



[참조자료] 

"정하봉의 행복한 순간에는 와인이 필요하다 - 와인을 사랑한 세계적 명사들", EBS, 2023년 12월 25일


강사 : 정하봉

  • 국가대표 소믈리에 1호
  • 경희대학교 호텔경영학 전공
  • 2008년 '한국 왕중왕 소믈리에 선발대회 우승'
  • 2010년 칠레 산티아고에서 열린 '제13회 세계 소믈리에 대회'에서 국가대표 소믈리에로 출전
  • 프랑스 샴페인 협회로부터 슈발리에 기사 작위를, 프랑스 보르도 협회에서 보르도 코망드리 기사 작위를 수여 받음
  • 현재 소피텔 식음료 총괄 이사 / 한국 국제소믈리에 협회 수석 부회장
  • 저서 : 삶에는 와인이 필요하다(2018), 5분 와인(2019, 공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