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경제] 미국, 세계 최강국이 된 이유

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이 글에서는 미국이 어떻게 세계 최강국이 되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미국의 영토 확장

  • 오늘날 미국 영토는 풍부한 자원을 가지고 태평양과 대서양으로 동시에 진출할 수 있는 좋은 여건을 가지고 있고 이를 기반으로 세계 최강국이 되었다.
  • 하지만 이는 그냥 얻은 결과는 아니다.
  • 최초 미국 땅은 동부의 13개 주였다.
  • 프랑스 대혁명은 미국 영토 확장에 영향을 주었다.
  • 나폴레옹 시절 루이지애나는 프랑스 식민지였다.
  • 프랑스 대혁명 이후 ‘자유, 평등, 우애’ 라는 프랑스 혁명 정신이 아이티로 흘러 들어왔다.
  • 이러한 영향을 받아서 아이티에서 독립 혁명이 발생하였다.
  • 아이티는 1804년 세계 최초 흑인 공화국으로 독립을 하게 된다.

아이티의 독립

  • 그 결과 프랑스 식민지였던 루이지애나는 프랑스와 연결 접점이 끊어진 상태가 되었다.
  • 루이지애나는 캐나다를 지배하던 영국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커졌고, 프랑스는 계속되는 전쟁으로 루이지애나를 지배하기 어려워지게 되었다.
  • 이에 프랑스는 경쟁국인 영국에 루이지애나를 넘기느니, 돈을 받고 타국에 판매하려고 시도하였고, 결국 1,500만 달러를 받고 미국에 루이지애나를 판매하였다(1803년).
  • 미국의 루이지애나 매입은 안정된 경제 발전을 위한 지리적 기반을 형성할 수 있게 하였다.
  • 나폴레옹 전쟁으로 아메리카 대륙의 에스파냐 식민지들이 독립하기 시작하였다.
  • 1821년 에스파냐 식민지에서 멕시코가 독립하였다.
  • 1846년~1848년 미국-멕시코 전쟁이 발발 하였다. 전쟁은 미국의 승리로 끝이났고, 그 결과 텍사스, 캘리포니아를 포함한 땅들이 미국으로 귀속되었다.

2. 지리를 활용한 미국의 비상

2.1. 동서부를 잇는 대륙횡단철도(기차의 장점을 적극 활용)

  • 미국은 철도를 이용하여 영토를 서로 연결하면서, 사회와 경제를 온전히 통합하였다.
  • 이 덕분에 미국 각지의 천연 자원을 산업 지대로 운송 가능하게 되었다.

2.2. 파나마 운하

  • 프랑스는 파나마 운하 건설에 실패했지만, 미국은 이를 성공시킴으로서 지정학적 변화를 이끌었다.
  • 원래 파나마 땅은 그란콜롬비아(콜롬비아 전신, 19세기 에스파냐의 식민 지배에서 벗어나 운영된 남미의 연방 국가)가 소유하고 있었다.
  • 미국은 파나마 독립 운동을 지원해주는 대신 미국이 파나마 운하를 100년 동안 쓰기로 협정하였다.
  • 미국은 신디케이트론(복수의 금융기관이 대규모 중장기 자금을 빌려주는 것)을 통해 파나마 운하 건설을 지원하였다.
  • 1914년 파나마 운하가 개통되었다. 파나마 운하 개통으로 태평양과 대서양이 연결되면서 미국의 경제는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해양대국으로 발돋움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더불어 세계 무역 또한 활발해지는 효과가 있었다.

3. 말, 마차 vs 기차(참조)

  • 기차는 말/마차에 비해 많은 수용량을 가진다.
  • 기차는 오랜 시간 운행이 가능하다
  • 기차는 시간을 정확히 준수할 수 있다(정시성).

[참고영상]

“미국, 세계 최강국이 된 이유”, EBS, 2025년 3월 19일


강사: 이동민

  • 진주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
  • Journal of Geography(SSCI 등재) 편집위원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교육학 박사
  • 저서)
  • 드디어 만나는 지리학 수업(2025)
  • 지리로 다시 읽는 자본주의 경제사(2025)
  • 기후로 다시 읽는 세계사(2023) 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