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산업] K-방위산업의 현황과 성장동력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본 글은 이슈 Pick 쌤과 함께 105회 - K-방산, 세계로 향하다(22년 10월 9일 방영)편을 시청하고 요약한 글입니다.

 이번 글에서 K-방산의 현황과 K-방산 수출이 성장하게 된 배경에 대해서 알 수 있을 것입니다.



◎ 국산 무기 수출 현황(22년 10월 방송당시 기준)

22년 10월 당시 국산 무기 수출 현황은 아래와 같다.

  • K2전차 980대.
  • K9자주포 648문.
  • FA-50 경공격기 48대.
  • 탄약, 탄약 운반 장갑차 포함 40조원 규모.
  • 천궁-II(순수 국내기술로 개발된 중거리 지대공 유도미사일): UAE와 단일 유도 무기 최대 규모 수출 계약.
  • FA-50 경공격기: 인도네시아, 태국과 수출 협상 진행중이다.
한국 방산수출 추이

◎ 무기 수출 특징

1. 정부 간 거래

 - 무기 생산과 수출은 방위 산업체가 담당한다.

 - 정부의 수출 승인이 반드시 필요하다.

 - 계약 내용에 따라 공개 여부가 결정된다.

2. 높은 진입 장벽

  • 진입 장벽이 높다 보니까 소수의 국가들이 독과점 형태로 대부분의 시장을 장악하는 형태가 유지되고 있다.
세계 방산시장 점유율

◎ 폴란드가 한국을 선택한 이유

  • 유럽은 냉전 종식 후 국방 예산을 감축하였다.
  • 따라서, 재래식 무기 개발과 생산을 사실상 포기하였다.
  • 한국은 북한과 대치 중이었기에 재래식 무기 체계에 대한 성능을 지속적으로 향상 해왔다.
  • 한국은 대규모 물량을 적시에 공급할 수 있다. 무기 공급의 핵심은 ‘생산 라인’이고, 한국은 협업 시스템을 통해 고품질 무기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하지만, 유럽은 냉전 이후 생산 라인이 와해되었다.
  • 단적인 예로, 독일 전차 50대를 공급하는데 5년이 걸리지만, 한국은 전차 180대를 3년 내에 공급이 가능하다.

◎ K-무기의 강점

  • 남한과 북한이 대치 중인 상태라서 무기가 검증되었다.
  • 한국은 무기 공급의 적시성이 높다.
  • 한국 무기의 가성비(규모의 경제)가 좋다.
K2 vs 레오파드2A7

◎ K2 전차 흑표

  • 대한민국 방위 산업 발전의 상징이다.
  • 순수 국내 기술로 완성된 첨단 3.5세대 전차이다.
  • 기동 속도: 포장 70km/h, 비포장 50km/h
  • 컴퓨터로 차체와 주포의 완벽한 흔들림 보정을 통해 정확한 사격이 가능하다(현수 장치).
  • 4.1m 잠수 도하가 가능하다.
  • K2 흑표는 세계 5대 전차로 평가 받고 있다.


◎ K9 자주포

  • K-방산의 상징이다.
  • 탄약: 직경 155mm, 무게 40kg
  • 최대 사거리 40km
  • 자동 장전으로 15초에 3발, 분당 6~8발 연속 사격이 가능하다.
  • 차세대 K9 자주포는 자동화와 무인화를 추진 중이다.
K9 자주포 재원
세계 자주포 시장 점유율

  • 자주포와 전차의 차이점

 

자주포

전차

궤도

포물선

직선

최대 사거리

장거리(40km이상)

근거리

포탄의 속도

상대적으로 느림

고속

 

◎ FA50 경공격기

  • 국산 항공기 중 디지털 성능이 가장 좋다.
  • 2017년 실전에 투입되었다(필리핀 마라위 전투에서 맹활약).
  • 검증된 무기 체계라는 평가가 다수다.
  • 폴란드 수출 기종은 레이더와 공중 급유가 가능하게 업그레이드 되었다.
  • 국내 전투기 발전사: 기본 훈련기 → 고등 훈련기 → FA-50 → KF-21(순구 국산 초음속 전투기)


◎ 한국형 무기체계 개발의 역사

  • 1970년대: 무모한 도전의 시기
  • 1968년 1월 21일 북한국 청와대 습격 사건
  • 1968년 10월 30일 울진, 삼척 무장공비 침투 사건
  • 1969년 주한미군 감축
  • 연이은 북한군 도발로 자주국방의 필요성 증대
  • 1970년 8월 6일 국방과학연구소 설립
  • 1971년 11월 박정희 대통령 지시사항 국방과학연구소 하달(1차 번개사업: M1소총, M2카빈 소총, 기관총, 60/81mm박격표, 3.5인치 로켓포, 수류탄, 지뢰 7종을 1달내에 만들어 제시할 것)
  • 국방과학연구소의 최초 거래처는 청계천 고물상이었고 당시 국가 표준이 없어 통일된 도량형이 없던 시절이었다. 당시 아파트 온수 공급용 밸브(100~200도)정도 제작할 수 있었던 한국이 1900도의 탄환의 마찰열을 견딜 수 있는 총열을 제작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 국방과학연구소는 무기를 분해하고 다시 조립하는 역설계 방식을 이용하여 지시사항을 수행하였다.
  • 국방과학연구소는 시제품으로 실사격하라는 지시를 받았고, 이를 성공시켰다.
  • 1972년 1월~3월 2차 번개사업의 시행
  • 1980년대 시행착오의 시기
  • 2000~2010년대 기술 축적의 시기


◎ 국방과학기술 연구개발비

  • 선진국은 국방비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약 10%에 육박한다.(미국 15%)
  • 과거 우리 나라는 국방 예산 중 연구개발비 비중은 2~4%였다.
  • 국방 개혁 2020(2006년 국방운영체제 선진화, 전력 체계 발전을 목표로 국방부가 마련한 장기적 국방 개혁 청사진)을 기반으로  연구개발비 비중을 7%까지 끌어올릴 예정이다.

 

◎ 무기 수요 증가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면서 전쟁은 현실이 되었다.
  • 특히 폴란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자주국방을 위한 군사력이 절실해졌다.
  • 냉전 해체 이후 평화 기간이 시작되면서 군비가 감축 되었으나, 러시아의 크림 반도 병합, 돈바스 분쟁 발발, 대만 해협에서 위기감이 고조되면서 각 국의 군방 예산은 증액 추세에 있다.
  • 세계 무기 시장이 확대되면서 K-방산의 무대가 넓어지고 있다.

 

◎ K-방산의 미래성장동력

  • K-방산에 있어서 향후 3~5년이 결정적 시기가 될 예정이다. 왜냐하면 순항 고도에 안착하느냐, 하강하느냐가 달린 시기이기 때문이다.
한국 방위산업 현주소
  • 국방과학기술역량이 방위 산업, 방산 수출의 토대이다.
국방과학기술 수준


  • 국방비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을 증대하여 첨단 K-무기 체계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 강소기업 역할을 확대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 부품 국산화 비율을 높여 내실을 다질 필요가 있다. 


◎ 무기 수출 고려 사항

  • 국제적 규범
  • 국가 정체성
  • 국가안보전략


참조: "이슈 픽 쌤과 함께_"K-방산, 세계로 향하다", KBS, 22년 10월 9일 방송


강사: 방종관

  • 육사 44기
  • 국방과학연구소 겸임연구원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교원
  • 한국국방연구원 객원연구원
  • 예비역 육군 소장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