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음식] 와인 용어와 보관 Tip, 그리고 컬트 와인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와인 용어와 와인을 보관하는 방법, 컬트 와인, 



1. 와인 애호가를 위한 와인 용어(심화편)

  • 시트러스(citrus): 화이트 와인에 전반적으로 흐르는 와인의 향기를 말한다.
  • 이스티(yeasty): 갓 구운 빵에서 나는 고소한 풍미를 말한다. 고급 샴페인과 화이트 와인에서 나는 향기이다.
  • 미네랄리티(minerality): 토양, 쇠 등의 맛이 느껴지는 복합적인 풍미를 말한다.
  • 플랫(flat): 산미와 생동감이 모자란 밋밋한 느낌을 말한다.
  • 하쉬(harsh): 알코올과 탄닌이 많고 산미가 강한 맛을 말한다.
레드 와인의 균형감
  • 블랙커런트(Black Currant) / 카시스(Cassis): 레드 와인의 과일 향을 말한다.
  • 아로마(aroma): 포도 자체의 자연 향기를 말한다.
  • 부케(Bouquet): 숙성 과정에서 화학 변화로 생긴 향기를 말한다.
  • 오크 향(oaky): 오크통 숙성으로 생기는 향을 말한다.
  • 실키(silky): 입안에서 느껴지는 와인의 부드러운 질감을 말한다.
  • 피니시(finish) / 렝스(length): 와인을 마신 후 입안에 남는 마지막 느낌이나 여운을 말한다.


2. 와인 보관 Tip

  • 일반 냉장고보다 김치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고 햇빛을 피해야 한다.
  • 김치냉장고 보관시 화이트 와인은 음용 30분 전에 꺼내 놓는 것이 좋다.
  • 레드 와인은 음용 1~2시간 전에 꺼내 놓아야 한다.
  • 보관시, 온도 변화가 있으면 잘 숙성된 와인의 맛을 맛볼 수 없다.


3. 소수의 사람을 위한 고품질의 컬트(cult) 와인

3.1. 미국 컬트 와인

  • UC 데이비스 양조학과 출신들이 나파 밸리에서 다양한 혁신 도입하여 만든 와인이다.
  • 로버트 파커는 나파 밸리의 와인에 높은 점수를 부여하였다.
  • IT붐을 타고 실리콘 밸리 IT기업의 CEO들이 찾기 시작하면서 수요가 증가하였다.

3.2. 프랑스 생테밀리옹의 가라지 와인(garage wine)

  • 아주 적은 양의 포도를 수확해 전통과 규정에서 벗어나 다양한 혁신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와인을 말한다.


4. 와인에 빠져드는 특별한 시간

  • 와인 애호가들이 와인에 빠져들기 좋은 행사들은 아래와 같다. 해당 이벤트에 참석하면 다양한 와인을 저렴하게 맛볼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기 때문에 와인 애호가들은 참석을 고려해보길 바란다.

4.1. 세계 3대 와인 엑스포

  • 프랑스 보르도 비넥스포(Vinexpo): 2년에 한 번 열린다.
  • 독일 뒤셀도르프 프로바인(ProWein): 전 세계 와인의 비즈니스 현장이라고 할 수 있다.
  • 이탈리아 베로나 비니탈리(Vinitaly)

4.2. 국내에서 열리는 국제 주류 박람회

4.3. 대전 와인 엑스포



[참조자료]
"와인 입문자에서 와인 애호가로", EBS, 2023년 12월 22일


강사 : 정하봉

  • 국가대표 소믈리에 1호
  • 경희대학교 호텔경영학 전공
  • 2008년 '한국 왕중왕 소믈리에 선발대회 우승'
  • 2010년 칠레 산티아고에서 열린 '제13회 세계 소믈리에 대회'에서 국가대표 소믈리에로 출전
  • 프랑스 샴페인 협회로부터 슈발리에 기사 작위를, 프랑스 보르도 협회에서 보르도 코망드리 기사 작위를 수여 받음
  • 현재 소피텔 식음료 총괄 이사 / 한국 국제소믈리에 협회 수석 부회장
  • 저서 : 삶에는 와인이 필요하다(2018), 5분 와인(2019, 공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