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마케팅] 제품을 확산과 이를 위해 해야 하는 것

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제품이 확산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캐즘을 뛰어넘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시간에 따른 제품의 확산

  • 시간에 따라 제품을 받아들이는 고객층을 혁신자, 얼리 어답터, 초기 다수 수용자, 후기 다수 수용자, 지각 수용자로 구분할 수 있다.

시간에 따른 제품의 확산

2. 개념 전파의 시간에 따른 수용자 수 분포

2.1. 캐즘(Chasm)

캐즘


  • 캐즘(Chasm)이란 신기술이 처음 개발된 후 대중적으로 보급되기까지 수요가 정체 되는 현상을 말한다.
  • 최초 구매자가 만족하는 제품을 만들었다고 해서 반드시 이야깃거리가 되는 것은 아니다.
  • 캐즘 단계에서 핵심적으로 체크해야 할 것은 이 제품이 다음 집단으로 넘어갈 만큼 좋은가?이다.


2.2. 네트워크 효과

  • 많은 사람이 제품을 사용할수록 더 큰 이익이 발생하는 효과를 말한다.
  • 네트워크 효과에서 체크해야 할 것은 이 개념이 전파되면 내 삶에 이로울까?이다.


3. 개념을 전파하기 위해 해야 하는 것

  • 개념을 전파하기 위해서는 위상이나 연대 중 한 가지를 자극해야 한다.
  • 사람들의 행동에 지속성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문신처럼 지속되는 개념을 만들어야 한다.
  • 마케터들은 성공을 맛본 후 고객들의 관심을 최대한 얻으려다 실패하곤 한다.
  • 너무 많은 사람을 위한 제품을 만들려다 정작 중요한 것을 놓치게 된다.
  • 제품 속의 중요한 요소는 공짜 선물이 될 수 있다.
  • 공짜 선물은 다른 이에게 전할 만한 이야기이며, 브랜드의 상징이 될 수 있다.
  • 마케터가 해야 할 일은 개념이 전파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 전파되는 개념이 성공하게 되고, '우리 같은 사람들은 이런 일을 해요'라는 인식이 그 개념을 더욱 성공으로 이끌 것이다.


[참고영상]

“세스 고딘 <마케팅의 정석> 3강 ‘우리 같은 사람들’이란 마법, EBS, 2024년 10월 12일


강사: 세스 고딘(Seth Godin)

  • 베스트 셀러 작가
  • 2013년 다이렉트마케팅협회(DMN) 명예의 전당
  • 2018년 미국마케팅협회(AMA) 명예의 전당
  • 저서 : <보라빛 소가 온다>, <마케팅이다>, <더 프랙티스>, <트라이브즈>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