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오늘의 노트는 최근에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는 산불과 관련된 내용입니다.
전 세계에서 산불이 대형화 되는 이유
- 다만 달라진 것은 예전보다 날씨가 건조해지면서 산불이 대형화 되는 추세이다.
- 영동 지역 겨울 기후변화(2000~2020): 온난화, 건조화.
- 기온
10년당
0.4도 상승
.
- 강수량
10년당
12.6mm 감소
. - 과거에는 건조한 봄철 산불 발생 위험이 높았으나 최근에는 이른 봄이나 겨울에 산불 발생 위험이 상승하고 있다.
- 즉, 예상하지 못한 시기와 장소에 산불이 발생하고 있다.
- 지구 건조화의 원인은 온도, 강수량 등의 종합적인 변화이지만, 제일 중요한 변화는 기후 변화라고 할 수 있다.
1. 미국 캘리포니아 산불
- 최근, 미국 서부에 산불이 많이 나는 이유는 미국 남서부의 가뭄 때문이다.
- 미국 서부의 산불은 매해 발생하여 예측이 가능하나, 사전에 대응하기에는 물이 부족했다.
- 왜냐하면, 미국 남서부 지역은 오랫동안 농업 지역이었기에 농사를 위해 지하수를 너무 많이 소비하여 현재는 물이 부족한 상태였던 것이다.
2. 호주의 산불
- 2019년 9월~2020년 2월까지 6개월간 꺼지지 않은 초대형 산불이 발생하였다.
- 호주 산불의 초대형화 원인은 인도양 쌍극자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쌍극자 현상은 인도양의 동쪽과 서쪽 해수면의 온도 차가 극심해지는 불균형 현상을 말한다.
- 인도양 해수면 온도
↑ → 수증기
↑ → 강우량
↑(아프리카
)
- 인도양 해수면 온도
↓ → 수증기
↓ → 강우량
↓(호주
)
- 인도양 한쪽에서는 홍수
, 반대쪽에서는 가뭄이 발생함
.- 문제는 지구 온난화가 심화되고, 쌍극자 현상이 강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기후 변화의 결과이면서 동시에 원인인 산불
- 나무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흡수원 중 하나이다.
- 산불이 나면 나무가 타면서 공기 중으로 탄소를 배출하게 된다.
- 까맣게 타버린 산림은 빛을 더 많이 흡수하게 된다. 따라서 기업이 상승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북극이 추운 이유 중 하나로 하얀 얼음이 빛을 반사하는 것을 들 수 있을 것이다.
- 기후 변화의 최대 문제점은 “무슨 일이 일어날지 정확히 예측할 수 없다”는 점이다.
- 지금까지 산불은 기후 과학자가 예측하지 않았던 변수였다.
극단적 이상 기후 현상의 결과
물은 지구 밖으로 나갈 수 없기 때문에 가물었던 지역에 있던 물은 어딘가로 이동해서 뿌려져야 한다.
1. 산불이나 홍수
2. 도시 사막화
- 사막처럼 고온 건조해지는 도시. 도시가 상대적으로 시골보다 더 건조해지고 있다.
- 열을 흡수하는 도시의 아스팔트가 도시 사막화의 원인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 기후공학(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의도적으로 기후 시스템을 조절, 통제하는 과학 기술)을 이용하여 도시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지구온난화의 주범
- 지구온난화의 주범 이산화탄소는 눈에 보이지 않아서 통제가 힘들며, 수명 또한 200년으로 장기간이다.
- 메탄의 온실효과는 이산화탄소의 80배 이상이다.
- 영구동토층 아래에는 엄청난 양의 메탄이 매장되어 있다. 이는 오랜 시간 토양 유기물·미생물 분해되는 과정에서 생겼다고 할 수 있다.
- 지구온난화로 영구동토층이 녹는 날에는 엄청난 양의 메탄이 쏟아져 나올 수 있고, 미지의 전염병이 유행할 수도 있다.
- 모든 생명체와 생태계는 지구 평균 온도가 1.5도 오르면 치명적인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 지구의 평균 기온이 1.5도까지 오르는데 남은 시간은 몇 년 남지 않았다. 과학자들은 2030년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현재(2025년) 기후이상현상이 계속 발생하고 있는 것을 보면 합리적인 예측이라는 생각이 든다.
- 문제는 1.5도의 계산에 산불이 반영되어 있지는 않다는 점이다.
탄소중립을 위해 우리는 노력을 하고 있나?
- 파리기후협약은 205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협약이다.
- 마우나 로아(Mauna Loa): 미국 하와이에 위치한 해발 4,169m의 지구 최대 활화산이다. 대표적 청정 지역으로 전 세계 탄소 농도 측정의 기준점이 된다.
- 1958년부터 마우나 로아에서 온실가스를 측정하기 시작하였다.
- 문제는 전 지구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마우나 로아와 같다고 착각할 수 있다는 점이다.
- 전 세계의 온실가스 수치가 마우나 로아와 같아지면 탄소 중립이 실현되었다고 볼 수 있다.
- 탄소 국경세란 유럽연합으로 수입되는 제품 중 이산화탄소 배출이 많은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를 말한다.
- 아직은 배출량에 대한 구체적인 데이터가 부족한 편이다.
- 탄소 중립 10대 핵심 기술 선정: 이는 2050년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해 에너지 전환과 산업 저탄소화 등을 중심으로 한 기술 개발 계획을 말한다.
- 소비자들의 제품 구매 선택이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이다.
- 우리의 구매력이 곧 탄소 과다 배출국(중국)의 배출량이라고 할 수 있다.
- 미래의 일이라고 미루고 있는 기후 문제는 우리의 일이라고 생각하고 실천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참조: "이슈 픽 쌤과 함께 85회_극한 산불 지구가 보내는 붉은 경고, KBS, 2022년 4월 24일
강사: 정수종
- (현)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교수
- (현) 서울대 AI연구원 기후환경AI센터장
- (전) 미 우주항공국(NASA) 연구원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