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과학] 번식

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생식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무성생식

  • 정의: 암수 구분 없이 부모 하나만 필요한 생식을 말한다.
  • 장점은 짝을 찾고 구애하거나 교미를 하는 육체적 행동을 하는 데 시간이나 에너지를 낭비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1.1. 형태

  • 출아법
    • 자식은 모체의 일부분에서 성장한다.
    • 모체와 분리되지만 평생 연결되는 경우도 있다.(ex. 딸기밭, 사시나무 숲은 덩굴과 뿌리의 출아 체계를 통해 연결된 거대한 유기체)
  • 분열 
    • 모체가 작은 조각으로 분열되어 각자 새로운 개체로 성장한다.(ex. 편형 동물)

1.2. 특징

  • 자식은 모체와 유전적으로 동일하다.
  • 유전적 동일성으로 환경 변화에 적응하기가 어렵다.
  • 안정적인 환경에서 쉽게 번성한다.


2. 유성생식

  • 암수가 생식세포(정자와 난자)를 통해 절반씩 유전적 성질을 제공하는 생식방법이다.
  • 암수의 생식세포 결합으로 부모와 유전적으로 새로운 유기체를 생성한다. 개체군에 다양한 성질을 빠른 속도로 도입이 가능하다.
  •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이 용이하다.
  • 대체로 고등 생물은 유성생식을 한다.
  • 단점은 생식 세포의 형성과 짝을 찾는데 많은 에너지를 소모한다는 것이다. 



[참고문헌]

데이비드 S.키더, 노아 D. 오펜하임, 허성심 역, 1일 1페이지 세상에서 가장 짧은 교양수업 365, 위즈덤하우스, 201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