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음식] 미쉐린 가이드와 소믈리에의 역할, 한국의 와인 시장과 관련 행사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본 글은 EBS [정하봉의 행복한 순간에는 와인이 필요하다] 10강. 소믈리에가 전하는 행복한 와인생활을 시청후 요약한 글입니다.

이번 글이 마지막 글입니다. 이 글을 읽는 모든 분들의 와인에 대한 지식이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되었으면 합니다.



통상적으로 와인 하면 먼저 떠오르는 식당이 레스토랑일 것입니다. 그리고 레스토랑 하면 미쉐린 등급(미슐렝)이 떠오를 것이고, 보통 미쉐린 레스토랑에 소믈리에도 상주합니다. 먼저 미쉐린(미슐렝) 가이드를 알아보는 것부터 시작하겠습니다.

1. 미쉐린 가이드

  • 1889년에 창립된 미쉐린 타이어는 미쉐린 타이어를 많이 팔기 위해서 미쉐린 가이드북을 작성하기 시작한다. 
  • 1926년에 레스토랑에 몰래 본인들의 암행어사를 보내 별점을 매기기 시작했고, 매년 10월과 11월 경에 등급을 발표하고 있다.
  • 아시아에서는 일본의 도쿄가 미쉐린 등급을 처음으로 받게 되었다. 그 뒤 홍콩과 싱가포르, 마카오, 일본의 교토, 상하이, 서울(2016년)순으로 별을 받았다.
  • 미쉐린 등급의 레스토랑 평가 기준
  1. 요리 재료의 수준
  2. 요리법과 풍미의 완벽성
  3. 셰프의 개성과 창의성
  4. 가격에 합당한 가치
  5. 전체 메뉴의 통일성과 품질의 일관성
  • 23년 12월 기준, 서울에 35개의 미쉐린 레스토랑이 존재했다.


2. 소믈리에의 역할

    • 1700년 이전 소믈리에는 영주들의 식재료를 관장하는 사람이었으나, 현재는 와인을 관장하는 사람으로 역할이 변경되었다.
    • 코스 요리가 진행되는 순서에 따라 소믈리에가 식재료에 대한 설명부터 음식에 대한 프레젠테이션을 테이블에서 직접 진행하며, 음식에 어울리는 음료(식전주, 식중주, 식후주)의 페어링도 설명한다.
    • 소믈리에의 역할은 크게 다음의 두 가지라고 볼 수 있다. 

  1. 와인 리스트(소믈리에의 보물지도, 소믈리에의 수준을 보여줌)의 작성과 고객에게 와인 추천. 쉐프와 소믈리에가 3개월에 한 번씩 협업하여 와인 리스트 및 코스 요리와의 페어링 등을 업데이트하는 것이 좋다.
  2. 와인 행사를 기획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레스토랑을 널리 알리고, 충성도 높은 VIP 고객들을 확보할 수 있다.


3. 한국의 와인 시장과 와인 관련 행사

  • 2023년 한국의 와인 시장은 약 2조원 규모였다.
  • 와인 수입사는 900개에 육박한다.
    • 대형 수입사: 3사 마트나 대형 와인 샵에 유통되는 와인을 수입하는 회사를 말한다.
    • 중소형 수입사: 특정 지역의 와인만 수입하는 회사를 말한다.
  • 서울 시내 호텔들은 봄, 가을에 다양한 행사를 진행한다. 이러한 행사에 참가를 신청(입장료 3만~5만)하면 입구에서 와인잔을 받고, 이벤트 현장에서 최소 50종~100종 와인을 시음 할 수 있다. 와인의 직접 구매도 가능하다. 


참조: "정하봉의 행복한 순간에는 와인이 필요하다_10.소믈리에가 전하는 행복한 와인 생활", EBS, 2023년 12월 26일


강사 : 정하봉

  • 국가대표 소믈리에 1호
  • 경희대학교 호텔경영학 전공
  • 2008년 '한국 왕중왕 소믈리에 선발대회 우승'
  • 2010년 칠레 산티아고에서 열린 '제13회 세계 소믈리에 대회'에서 국가대표 소믈리에로 출전
  • 프랑스 샴페인 협회로부터 슈발리에 기사 작위를, 프랑스 보르도 협회에서 보르도 코망드리 기사 작위를 수여 받음
  • 현재 소피텔 식음료 총괄 이사 / 한국 국제소믈리에 협회 수석 부회장
  • 저서 : 삶에는 와인이 필요하다(2018), 5분 와인(2019, 공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