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역사] 일본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하나

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이번 글을 통해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의 해결책과 일본의 역사 인식이 주변국과 다른 이유, 역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본이 해야 할 일에 대해 알아볼 것입니다. 



1. 야스쿠니 신사 참배 문제의 해결책

  • A급 전범을 분사 시킨다
  • 국립 추도 시설을 마련한다.
  • 이는 차도리가후치 묘원(민간 종교시설인 야스쿠니 신사와 달리 일본 정부가 직접 관리하는 묘지공원으로 고위급 전범이 아닌 무명용사와 민간인들의 유골이 안치되어 있음)으로 야스쿠니 신사에 있는 전사자의 영령을 옮기는 방법이다.
  • 하지만, 야스쿠니 신사 측은 한번 합사한 혼령을 분리할 수 없다는 종교적인 이유를 들면서 거절하였다.
  • 총리와 각료들이 참배를 중단한다.
  • 어려운 점: 참배는 개인의 마인드 문제이고, 총리에게 간섭할 수 있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점에서 어려움이 있다.
  • 해결책: 야스쿠니 신사가 종교 법인에서 탈퇴하여 국가 지원을 받도록 개혁을 시도하는 것이다. 그러나, 여러 차례 시도 끝에 실패하였다. 


2. 일본의 화해 정책에도 불구하고 한일/중일 국민 간 화해가 진전되지 못하는 이유

  • 전쟁이나 식민지 지배 역사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세력이 일본 내부에 있다.
  • 주변국에서 일본 정부의 포용 정책을 신뢰하지 않는다.
  • 전쟁과 식민지 지배에 대한 역사 인식에 차이가 있다.

3. 전쟁과 식민지 지배에 대해 일본이 주변국과 역사 인식에 차이가 있는 이유

  • 역사적으로 일본은 섬나라였고, 거의 모든 전쟁이 일본 밖에서 일어났다.
  • 일본에서 일어난 전쟁은 오키나와에서 있었던 전쟁 뿐이어서 중국이나 동남아시아에서 발생한 전쟁에 대한 공감대가 부족하고, 그나마 공감대가 형성된 것은 일본이 태평양 전쟁때 본토 공습을 받기 시작하면서부터 라고 할 수 있다.
  • 1944년경부터 격렬한 공습이 일본 본토에서 벌어져 전쟁을 실감한 사람이 늘어났고, 이로 인해 일본인은 자신들이 전쟁 피해자라는 인식이 강해졌다.
  • 일본인이 전쟁 피해자라는 인식은 일본군의 대외적 만행이 드러나기 시작한 80년대 후반부터 바뀌기 시작했다.
  • 하지만, 90년대 이후까지 전쟁에 대한 인식이 크게 달라진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일본인의 대다수가 전쟁을 경험해보지 못했기 때문에, 전쟁에 대한 공감이 부족하다. 따라서, 국민 개개인의 전쟁에 대한 의견을 하나로 통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한국과 중국일본
식민지 지배- 한국: 식민지 지배의 불법성을 대한민국 핵심가치로 보고
국가 역사관의 근간으로 보고 있음
- 중국: 중일전쟁의 승리로 오늘날 중국 발전을 이룩했다는
항일전쟁의 역사인식이 정착되어 있음
자신들은 전쟁 피해자라는 인식이 퍼져 있음
위안부
강제동원 문제
법적 해결을 넘어 정의 실현법적 결과로 해결
역사 인식역사를 도덕적, 도의적 관점에서 바라보며,
역사적 사실의 진위를 따지고 선악을 판단하려고 함.
역사란 역사가의 일이고 선악 판단을 해서는 안됨
중요한 가치법의 지배를 넘어, 정의나 도의 그리고 역사적 정의가 중요국제분쟁의 법적 해결, 법적 지배가 중요


4. 역사 문제 해결을 위해 일본이 해야 할 일

  • 한일국교정상화, 중일국교정상화는 역사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기 보다 정치적인 타협점이다.
  • 독일은 확실하게 과거와 마주했으나, 일본은 그러지 못했다. 따라서 일본은 주변국으로부터 진실성이 없는 국가로 비춰지는게 현실이다.
  • 향후 일본이 역사 문제 해결을 위해 해야 할 일은 아래와 같다.

  1. 일본의 다음 세대에게 진지하게 역사 문제를 계승해야 한다.
  2. 쌍방이 함께 공유할 수 있는 미래를 그리면서 공통의 목표를 향해 서로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다.
  3. 일본은 세계 평화와 안녕을 위해 국제적인 공헌을 하는데 지속적으로 힘써야 한다.



참고: " 하타노 스미오 <일본의 전후 역사 인식> 4강 일본은 어떤 선택을 해야 하나", EBS, 2025년 2월 14일


하타노 스미오(Hatano Sumio)

  • 츠쿠바대 일본정치외교학과 명예교수
  • 일본 외교 문서 편찬 위원회 위원(2009~)
  • 일중 역사 공동 연구 일본 측 위원(2006~2009)
  • 본 학술회의 정치학 연구 위원(1995~199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