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재판매 혁명

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최근에 당근과 같은 플랫폼을 활용한 중고 거래가 유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은 이러한 중고 거래를 기업 측면에서 어떻게 활용하는 것이 좋은 가 하는 것입니다.


1. 핵심 문제

  • 미국 가정은 평균 4,500달러 상당의 재사용 가능한 물품을 보유하고 있는 등, 많은 가정에 사용하지 않는 물건(가치)이 쌓여 있다.
  • 사람들은 심리적 애착이나 처분 방법의 어려움 때문에 물건을 버리지 못하는 "처분 연기(deferred disposal)" 현상을 보이고 있다.


2. 시장 현황 및 성장 동력

  • 재판매 시장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으며, 미국 내 시장 규모는 약 1,750억 달러에 달한다. (글로벌데이터 추산)
  • 성장의 주요 동력은 지속가능성에 대한 관심 증가와 Z세대 소비자의 부상이다.


3. 기업의 재판매 참여 이점

  • 매출 및 이익 증대: 특히 패션, 액세서리, 기술 분야 고가 제품에서 유리하다. 예를 들면 애플의 리퍼비시 아이폰, 코치의 (리)러브드 프로그램이 있다.
  • 신규 고객 유치: 가격에 민감한 젊은 소비자들이 중고품을 통해 브랜드에 입문하고, 향후 충성 고객으로 전환될 수 있다.
  • 경쟁 우위 확보: 자사 제품의 중고 시장을 직접 관리하지 않으면 리얼리얼(RealReal), 리백(Rebag) 같은 제3자 플랫폼에 시장 주도권과 수익을 빼앗길 수 있다(예: 롤렉스의 인증 중고 프로그램).
  • 지속가능성 실현 및 브랜드 평판 제고: 사용하지 않는 제품을 재순환시켜 환경적 책임을 다하고 브랜드 이미지를 높일 수 있다(예: 파타고니아의 원웨어 프로그램).


4. 재판매 시장 진입을 위한 가이드라인

매끄러운 프로세스 디자인: 소비자가 쉽게 중고품을 판매/반납할 수 있도록 마찰을 최소화하여야 한다(예: 베스트바이의 기프트카드 교환 및 재활용 프로그램, 자동차 시장의 인증 중고차 제도).

  • 제3자 플랫폼과 협업: 자체 역량이 부족할 경우, 트로브(Trove), 스레드업(ThredUp) 같은 전문 플랫폼과 협력하여 재판매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예: 파타고니아/REI-트로브, 월마트 리스토어드)
  • Z세대 소비자 공략: Z세대의 가치관(특히 지속가능성)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재판매 프로그램을 운영하여야 한다.
  • 브랜드 로열티 프로그램 통합중고품 반납/판매 시 크레딧을 제공하거나, 로열티 회원에게만 판매 자격을 부여하는 등 기존 로열티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고객 생애 가치를 높일 수 있다(예: 룰루레몬 'Like New', 마이클 코어스).
  • 통합된 포트폴리오 구축: 장기적으로 신제품과 중고품의 경계를 허물고, 반품 관리 시스템과 재판매 프로그램을 통합하며,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신제품과 중고품을 함께 판매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예: 아마존/월마트의 통합 웹페이지, 메이시스/파타고니아의 매장 실험).


5. 결론

  • 재판매는 기업이 지속 가능성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Z세대 등 새로운 고객층을 확보하며,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생산적인 전략이다.
  • 단순히 소비를 줄이자는 이상적인 구호보다 실질적인 비즈니스 기회가 될 수 있다. 




[참고문헌]
Thomas S. Robertson,"재판매 혁명",「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한국어판,11~12월호, 2023


저자 : 토머스 S.로버트슨(Thomas S. Robertson)

  • 전 펜실베니아 대학교 와튼경영대학원 학장
  • 현 와튼경영대학원 마케팅 전공 석좌교수
  • 와튼-INSEAD 연합 장 및 JH.베이커 소매업 센터 학술이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