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음식] 와인의 산지와 레드 와인 대표 포도 품종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본 글에서는 제조법에 따른 술의 분류와 포도의 품종에 따라 와인이 어떻게 분류되는 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제조법에 따른 술의 분류: 양조주, 증류주, 혼성주

1.1. 양조주

  • 곡류나 과일을 발효하여 제조한 술이다. 
  • 평균적으로 알콜 도수 20도 미만이다. 
  • 맥주, 막걸리, 와인 등이 양조주에 속한다.

1.2. 증류주

  • 물과 알코올의 끓는 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 발효된 액체를 고온에서 가열하여 발생하는 증기를 다시 응축하여 만드는 술이다.
  • 종류
    • 위스키(whisky): 맥아가 주원료인 증류주이다. 양주의 대표 명사이다. 스코틀랜드가 대표 국가라 할 수 있다.
      • 몰트 위스키 : 보리를 증류
      • 그레인 위스키 : 다른 곡물을 증류
      • 블랜디드 위스키 : 두 위스키를 혼합
    • 브랜디: 과일이나 과실주를 증류한다. 코냑(cognac)이 대표적이다.
    • 진(gin): 무색 투명한 알코올에 상쾌한 향을 가진다. 마티니의 베이스가 된다.
    • 보드카(vodka): 무색, 무취, 무미의 고 알코올 증류주이다.
    • 럼(rum): 사탕수수가 원료이다. 화려한 칵테일이 럼에 해당된다.
    • 테킬라(tequila): 용설란(agave)이 원료인 멕시코 전통주를 말한다.

1.3. 혼성주(liqueur)

  • 알코올에 당분 첨가한 술이다. 
  • 칵테일에 주로 사용된다.


2. 와인의 산지
  • 와인의 산지는 와인 벨트(적도 기준 위도 30도와 50도에 걸쳐 있는 지역)라 불리는 곳에 분포되어 있다.
세계 와인 생산 지역

2.1. 유럽(구세계)

  • 와인은 그리스, 로마 시대부터 음용되었다
  • 구세계 와인의 특징
    • 전통을 중시한다.
    • 생산지명을 중시한다.
    • 떼루아를 중시한다.
    • 복잡한 맛이다.
    • 와인은 예술적이라고 표현한다.


2.2. 신세계

  • 17세기 이후 유럽이 전세계를 식민지화 하면서 식민지에 포도나무(기독교에서는 와인이 예수의 피를 의미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를 심었다.
  • 미국, 호주, 뉴질랜드, 남아공, 칠레, 아르헨티나가 신세계에 해당된다.
  • 신세계 와인의 특징
    • 혁신적(포도 품종명 등)이다.
    • 와인의 라벨에 다양한 정보를 담는다.
    • 소비자 친화적이다.
    • 풍부한 과일 향을 가진다.
    • 와인은 과학이라는 관점을 가지고 있다.

      

3. 레드 와인 대표 포도 품종

3.1. 카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 국제 품종이다.
  • 전 세계 포도 품종의 왕이라 불린다.

  • 만생종: 껍질이 두껍고, 색깔이 진하고, 남성적이다. 
  • 입안에서 꽉 찬 무게감과 탄닌이 높다. 
  • 스테이크나 고기류와 잘 어울린다.

3.2. 메를로(Merlot)

  • 국제 품종이다.
  • 부드러움이 특징이다. 여성적인 포도 품종이라고 할 수 있다.
  • 보르도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는 품종이다.

3.3. 산지오베제(Sangiovese)

  • 이탈리아 끼안티 지역의 토착 품종이다.
  • 가벼우면서 산도가 있다.

3.4. 피노 누아(Pinot Noir)

  • 국제 품종이다.
  • 높은 산도에 부드러운 맛이 특징이다.
  • 부르고뉴 지역에서는 피노 누아 단일 품종으로만 와인을 제조한다.
  • 로마네 콩띠(가장 값비싼 와인)의 주 품종이라고 할 수 있다.

3.5. 쉬라(Syrah)

  • 국제 품종이다.
  • 만생종이다. 
  • 진한 바디감과 스파이시한 향이 특징이다.
  • 호주에서는 쉬라즈라고 발음한다.


4. 화이트 와인 대표 포도 품종

4.1. 샤도네이(Chardonnay)

  • 시트러스 계통의 청사과 같은 풍부한 과일 향이 난다.
  • 화이트 와인의 왕이라고 할 수 있다.
  • 부르고뉴, 캘리포니아에서 주로 재배한다.

4.2.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c)

  • 산도가 높고 가벼운 바디감이 특징이다.
  • 식전주에 적합하다.
  • 프랑스 루아르(Loire)와 뉴질랜드가 대표 산지이다.

4.3. 리슬링(Riesling)

  • 강한 단맛이 난다.


5. 와인 음용 단계

  • 스위트 와인 → 드라이한 화이트 와인 → 레드 와인 순으로 음용한다.


[참고영상]
"정하봉의 행복한 순간에는 와인이 필요하다 - 와인을 향한 첫걸음", EBS, 2023년 12월 13일


강사 : 정하봉

  • 국가대표 소믈리에 1호
  • 경희대학교 호텔경영학 전공
  • 2008년 '한국 왕중왕 소믈리에 선발대회 우승'
  • 2010년 칠레 산티아고에서 열린 '제13회 세계 소믈리에 대회'에서 국가대표 소믈리에로 출전
  • 프랑스 샴페인 협회로부터 슈발리에 기사 작위를, 프랑스 보르도 협회에서 보르도 코망드리 기사 작위를 수여 받음
  • 현재 소피텔 식음료 총괄 이사 / 한국 국제소믈리에 협회 수석 부회장
  • 저서 : 삶에는 와인이 필요하다(2018), 5분 와인(2019, 공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