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농업사회인 게시물 표시

[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총, 균, 쇠] 문명 불평등의 원인

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이 글에서는 베스트셀러 중 하나인 재레드 다이아몬드 교수의 「총,균,쇠」를 요약해 보겠습니다.  그는 인류 역사의 가장 큰 질문인 왜 세계의 각각의 국가는 서로 다른 역사를 가지고 발전을 하게 되었는가?라는 질문을 제기하면서 이야기를 풀어갑니다. 1. 역사적 불평등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 핵심 문제 제기: 다이아몬드 교수는 인류 역사의 가장 큰 질문을 던진다. "왜 다른 나라의 사람들이 서로 다른 역사를 갖게 되었는가?" 특히, "왜 유럽인들이 아프리카, 북미 및 남미, 그리고 호주를 정복했지, 아프리카인, 아메리카 원주민, 호주 원주민이 유럽을 정복하지 못했는가?"라는 질문에 집중했다. 개인적인 경험: 그는 1937년 미국에서 태어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성장한 경험과 1950년 처음 방문한 유럽에서 또래 친구들이 겪었던 참혹한 전쟁 경험을 비교하며, "지리가 사람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일찍이 깨닫게 되었다고 말했다. 인종주의적 설명 비판: 과거 많은 학자들이 유럽의 세계 정복 이유를 유럽인의 우월한 두뇌나 능력 때문이라고 설명했지만, 다이아몬드 교수는 이러한 설명에 대해 "유럽인이 다른 사람들보다 더 나은 두뇌를 가졌다는 증거는 없다"고 반박하며, 이러한 설명이 "인종주의적인 가정"이라고 비판한다. 그는 겉모습의 차이 뒤에 두뇌의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추측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2. 얄리의 질문과 문명의 불평등 얄리의 질문: 1972년 뉴기니에서 만난 얄리라는 원주민과의 만남을 통해 다이아몬드 교수는 "왜 유럽인들은 금속 도구와 글쓰기를 가지고 뉴기니에 왔는데, 뉴기니인들은 그렇지 못했는가?"라는 질문을 다시 한번 깊이 생각하게 된다. 이 질문은 개인적인 경험 뿐만 아니라 문명 간 불평등에 대한 전 세계적인 질문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1492년의 세계: 1492년 콜럼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