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지리경제학인 게시물 표시

[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경제] 중국의 부상과 일대일로

이미지
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국의 일대일로의 탄생배경과 현재 상황, 신자유주의의 도래와 중국의 성장에 대해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1. 중국의 흑역사와 개혁/개방의 배경 문화 대혁명의 비극: 마오쩌둥은 1949년 중국 공산화의 성공을 이끌었고, 1958년 대약진 운동을 펼쳤으나 무리한 노동력 동원으로 중국 경제를 초토화 시키면서 수 천만 명의 아사자를 발생 시켰다. 권력을 내려놓은 후에도 문화 대혁명을 통해 복권하며 자신의 권력을 공고히 하려 했으나, 이 과정에서 유교 사상 파괴 등 광적인 정치 운동으로 국가 경제와 문화유산을 파괴했다. 중국 1인당 실질 GDP 성장률 추이 최빈국 전락 및 소련과의 관계 악화: 문화 대혁명 종료 후 중국 경제는 세계 최빈국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마오쩌둥의 원리주의적 공산주의 노선과 소련의 개혁/개방 정책 간의 충돌로 인해 중소 관계는 국지전 발발 직전까지 악화되었다. 미국과의 관계 개선: 중국은 소련을 견제하려는 미국의 이해관계와 맞물려 관계 개선을 모색했다. 1970년대 초반 미중 관계가 급격히 개선되면서 중국은 자본주의 세계와의 교류를 시작할 수 있었다.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1970년대 말 문화 대혁명이 끝나고 덩샤오핑이 다시 집권하면서 중국은 공산 독재 체제를 유지하면서도 경제적으로는 자본주의 시장 경제를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게 되었다. 2. 신자유주의의 도래와 중국의 성장 1980년대는 자본주의 세계에서 수정 자본주의의 한계가 드러나면서 신자유주의 경제학이 부상하던 시기였다. 신자유주의 : 정부의 시장 개입을 지양하고 자유로운 경쟁 체제를 강화하려는 사상이다. 신자유주의의 특징: 신자유주의는 정부 지출 최소화, 자본의 자유 극대화, 경쟁 촉진, 기업 경영 유연화 등을 핵심 가치로 삼았다. 고전 자본주의와는 달리 최소한의 사회 복지를 인정하지만, 낙수 효과 이론에 기반하여 시장 경제와 경쟁을 통해 경제 규모를 키우는 것을 중시했다. 또한 통화 공급을 어느 정도 ...

[경제] 베트남과 일본, 갈라진 운명과 지리적 요소

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이번 글을 통해 지리적 조건이 일본과 베트남의 근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확인해봅시다. 베트남의 뛰어난 지리적 조건과 초기 발전 베트남은 해안선이 길고 남북으로 길쭉한 형태를 가지고 있어 해상 무역과 경제 발전에 매우 유리하다. 메콩강 삼각주는 세계 최고 수준의 곡창 지대이며, 민물고기 잡이와 양식업도 활발하다. 중국에 이어 희토류 매장량이 풍부하다. 이러한 지리적 이점을 바탕으로 베트남(대월)은 일찍 부터 서양 문물을 받아들이고 교류하며 부국강병을 이루었다. 17세기에는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의 무장 상선을 격파할 정도로 강력한 국력을 자랑했다. 베트남이 식민지가 된 이유: '뛰어난 지리적 조건'이 오히려 표적이 됨 19세기 중후반 서구 열강은 아시아에서 동남아시아와 중국 남부에 주로 관심을 가졌다. 이 지역은 무역에 용이하고 고무, 주석, 석유 등 산업 자본주의에 필요한 자원이 풍부했기 때문이다. 베트남은 인도와 중국을 잇는 요지였으며, 프랑스는 7년 전쟁으로 인도에서 쫓겨난 후 인도 차이나 지역(베트남)을 식민지화의 대상으로 삼았다. 베트남 내부의 문제와 산업 자본주의 시대 이후 서구 열강과의 국력 차이가 커지면서 결국 프랑스의 침략을 막아내지 못하고 식민지로 전락했다. 이동민 교수는 베트남이 “지리적 조건이 나빠 힘을 못 키워서 식민지가 되었다기보다는 지리적 조건이 너무 좋아서 제국주의 열강의 표적이 되었고, 결국 식민지가 되고 말았다." 라는 가설을 제시한다. 일본의 식민지화 면제와 근대화 성공: '덜 매력적인 지리적 조건'의 이점 일본은 동아시아 북동쪽에 위치한 섬나라로, 19세기 중후반 서구 열강의 주요 관심사에서 벗어나 있었다. 이는 일본의 자원이 그다지 풍부하지 않았고, 서구 열강의 침략 방향이 중국 남부 및 동남아시아에 집중되었기 때문이다. 서구 열강이 인도, 동남아시아, 중국 남부 식민지화에 힘을 집중하는 동안 일본은 상대적으로 압박이 덜했다. 러시아...

[경제] 미국, 세계 최강국이 된 이유

이미지
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이 글에서는 미국이 어떻게 세계 최강국이 되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경제] 영국과 프랑스, 신용과 자유의 힘

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영국이 프랑스를 앞서게 된 계기와 프랑스 대혁명이 자본주의 발전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경제] 영국, 산업 자본주의의 완성

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오늘은 네덜란드가 산업 자본주의로 성장하지 못한 이유와 영국에서 산업 자본주의가 먼저 탄생하게 된 배경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영국의 지리적 특성 낮은 평야와 구릉지 석탄, 철광석 등 풍부한 천연 자원 섬나라로서 해상 무역과 전쟁시 방어에 유리한 입지 2. 영국이 네덜란드에게 해상 무역과 재정 혁명에서 뒤처진 이유 1534년 수장령(首長令) 반포: 헨리 8세가 로마 교황이나 가톨릭 국가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로마 교황으로부터 종교적, 정치적 지배를 벗어난 영국 성공회(국교회)를 선포하면서 개신교 국가(보수적인 개신교)로 변경되었다. 하지만, 좀 더 개방적이고 진보적인 교리를 원하던 사람들은 성공회보다 진보적인 청교도를 받아들였다. 1642~1651년 성공회 중심 왕당파와 청교도 중심 의회파간 내전이 발발한다. 영국은 17세기 초반 이와 같은 종교 분쟁, 내전 등으로 재정 혁명에서 네덜란드보다 한발 늦게 되었다. 3. 네덜란드의 성장 한계 3.1. 네덜란드의 지리적 한계 네덜란드는 해상 진출에 유리하지만 규모는 작은 영토, 인구도 작다는 지리적 한계를 가졌다. 또한 외적을 막을 수 있는 천연 장애물이 미약했다. 3.2. 군대 양성의 불균형 강력한 해군에 비해 육성이 어려운 네덜란드 육군 3.3. 외세의 침략 프랑스가 네덜란드를 침공하면서 17세기 후반 프랑스와의 전쟁 여파로 쇠퇴하는 네덜란드 4. 영국에서 싹트는 산업 자본주의 명예 혁명: 1688년 영국 의회가 메리 2세와 윌리엄 3세를 왕으로 옹립하며 입헌군주제를 수립한다. 명예 혁명 이전에도 마그나카르타(1215년 왕권 제한과 제후의 권리를 확인한 문서)를 발표하고, 서민원에 의회 의원을 보내는 등 평민층의 힘이 상당히 커진 나라였다. 명예 혁명을 통해 왕실이나 귀족들의 전횡과 횡포를 견제하는 사회를 구축하였다. 이는 영국이 산업 자본주의로 나아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17세기 후반 영국은 간접세의 도입, 국채 발행 등...

[경제] 네덜란드의 경제사적 의미

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근대적 자본주의를 확립하고 재정 혁명을 이룩했던 네덜란드의 경제사적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네덜란드의 입지 네덜란드는 Nether(낮은)+Lands(땅)로서 낮은 땅이라는 뜻이다. 원래 네덜란드는 갯벌이었고 10~13세기 간척 사업을 통해 사람이 거주할 수 있는 땅이 되었다. 네덜란드는 저지대이지만 지리적으로 유럽 대륙, 북해, 발트해를 잇는 해상 무역의 중심에 위치해 있다. 2. 성녀 루치아 홍수 1287년 12월 13~14일 성녀 루치아 홍수 발생했다. 이는 성녀 루치아 축일과 그 다음날에 거대 해일이 네덜란드와 독일 북부를 덮친 재해를 말한다. 네덜란드는 성녀 루치아 홍수와 저지대라는 지형적 특성이 결합되어, 가운데가 뚫린 만과 같은 지형이 된다. 이로 인해 땅을 잃어버렸지만 항구 건설에 더욱 좋은 환경이 된다. 중세 후기가 되면 네덜란드 근해에 거대한 청어 어장이 형성된다. 중세 북유럽인들의 주로 섭취하던 생선이 청어였기 때문에 네덜란드 경제가 활성화되게 된다. 네덜란드는 청어로 벌어 들인 돈으로 투자를 시작하였고, 중세 후기 해상 무역과 상공업이 발달한 국가가 된다. 부자가 많은 네덜란드의 평민 상공인들은 군주에 예속되기 보다는 상당한 자치권을 누렸다. 3. 네덜란드의 해양진출 1556년 이전 네덜란드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를 받다가 1556년 합스부르크 가문의 상속 문제 때문에 에스파냐령이 된다. 이는 커다란 문제 2개를 야기한다. 문제점 1. 네들란드인에게 과중한 세금을 부과. 문제점 2. 종교 문제(네덜란드는 개방적인 개신교를 받아들였고, 에스파냐 왕실의 네덜란드 개신교 탄압이 시작됨). 1567년 네덜란드 북부 7주가 독립을 선포한다. 그 결과 에스파냐와 네덜란드간 독립전쟁이 발발한다. 1581년 네덜란드는 공화국을 선포한다. 부국강병을 통한 독립 국가를 뒷받침하기 위해 해양 진출을 시작한다. 1580년대 아메리카, 1590년대 아시아까지 진출한다. 4. 네덜...

[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