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허블 망원경인 게시물 표시

[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우주]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최근에 우주로 발사한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인 망원경이 아닌 우주 망원경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합시다. 1.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의 이름은 NASA 2대 국장 제임스 E. 웹의 이름을 땄다. 웹 국장은 아폴로 계획을 이끌었으며, 과학 연구를 NASA의 중요한 임무로 설정한 인물이다.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위치: 지구 궤도가 아닌, 지구에서 150만 km 떨어진 태양과 지구의 L2 라그랑주점에 위치한다. 이 지점은 태양과 지구의 중력 균형으로 인해 지구와 함께 태양 주위를 돌며 안정적인 관측 환경을 제공한다. 개발 과정: 25년 동안 개발되었으며, 약 12조 원의 예산이 투입되었고 만 명 이상이 참여했다. 발사 목표는 2007년이었으나, 예산 문제 등으로 14년 지연되어 2021년 12월 25일에 발사되었다. 기술적 특징 크기: 주경 지름이 6.5m로 허블 망원경(2.4m)보다 2.7배 크다.  관측 빛: 주로 적외선을 관측한다. 허블 망원경이 가시광선을 관측하는 것과 대비된다. 적외선 관측은 먼지를 뚫고 별이 탄생하는 모습 등을 볼 수 있게 해준다. 코팅: 주경에 금을 코팅했다. 적외선을 가장 잘 반사 시키는 금을 사용하여 관측 성능을 높였다. 코팅에 사용된 금의 양은 약 50g으로 매우 얇게 펴 발랐다. 태양 차광막: 사람 머리카락 두께의 얇은 막 5겹으로 구성된 테니스 코트 크기의 차광막을 사용하여 태양 빛을 막고 망원경의 온도를 극저온(-233도)으로 유지한다. 이 차광막은 종이 접기 기술을 활용하여 접어서 발사한 후 우주에서 펼쳐졌다. 성능: 허블 망원경보다 약 100배 향상된 성능을 가지고 있다. 핵심 목표: 우주 초기의 모습을 관측하여 우주의 탄생과 진화를 이해한다.  은하의 변천사 연구: 시간대 순으로 은하들이 어떻게 변해 왔는지를 이해한다. 외계 행성 대기 분석: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