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건강] 수면의 중요성과 구성, 나이와 수면의 관계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오늘은 잠이란 무엇이고, 잠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으며, 건강한 잠을 자야 하는 이유, 나이와 수면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1. 건강한 잠

  • 건강한 잠이란 한번도 깨지 않고, 아침까지 푹 자고, 꿈을 꾸지 않고, 꿈이 짧은 잠을 말한다.


2. 건강한 잠을 자야 하는 이유 : 심신의 건강 보장

 건강한 잠을 자는 동안에 아래의 기능이 수행된다. 그렇기 때문에 건강한 잠을 자야 한다.

  • 신체 조직의 성장과 치료
  • 체온 조절
  • 신체 대사 조절
  • 면역 기능 유지
  • 뇌 기능과 기억 유지


3. 수면의 구성

수면은 크게 렘수면과 논렘 수면으로 구성된다.

3.1. 렘 (REM, Rapid Eye Movement) 수면

  • 렘수면이란 눈동자가 빠르게 움직이는 꿈꾸는 잠이며, 수면의 20~25% 차지한다.
  • 꿈을 꾸는 잠이다.
  • 이 단계의 수면은 생명에 필수적인 기관을 제외한 모든 근육이 마비된다.
  • 렘수면동안 외부 온도에 따라 체온이 변동한다.
  • 렘수면은 정신적 피로를 회복하고, 기억력 회복에 도움이 된다.

3.2. 논렘 (Non-REM) 수면

  • 수면의 75 ~ 80% 차지한다.
  • 수면의 1,2,3단계에 해당한다.
  • 근골격계의 피로를 회복하는 잠이다.


4. 수면의 단계 (수면 사이클)

 수면의 단계(수면 사이클)는 각성 → 렘수면 → 1단계 → 2단계 → 3단계로 진행된다.

  • 90~120분 소요되는 수면 사이클은 하룻밤에 4~5번 반복된다.
  • 사이클 1,2에서 3단계 잠이 나온다.
  • 새벽으로 갈수록 렘수면이 많아진다.
  • 어린 아이는 3단계 잠이 30%를 차지한다.
  • 나이가 들수록 각성 역치(수면 상태의 뇌를 각성시키는 최소한의 자극 세기)가 낮아져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수면의 단계

4.1. 1단계 (N1, 선잠)

  • 1단계 수면의 뇌파는 세타파(강한 흥분 상태나 얕은 수면 상태에서 나오는 뇌파로 4~7Hz의 주파수를 가짐)이다.
  • 세타파는 30초에서 1분 30초 지속된다.
  • 수면의 10% 미만이 좋다.
  • 눈동자가 천천히 좌우로 움직인다.
  • 뇌파가 점차 느려진다.

4.2. 2단계 (N2)

  • 2단계에서는 K-복합체(수면 중 갑작스러운 소음에 활성화되는 뇌파로 깨는 것을 방지)와 수면 방추(수면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뇌파)가 발생한다.
  • 깨워도 잘 안 일어나고 호흡, 맥박수, 체온이 저하된다.
  • 수면의 50% 차지한다.

4.3. 3단계 (N3)

  • 3단계에서는 델타파(1초에 3~4회 정도 반복되는 아주 깊은 수면 상태의 뇌파)가 발생한다.
  • 3단계에서는 혈압, 호흡, 맥박 안정화, 에너지 축적, 성장 호르몬 분비, 정보의 저장이 발생한다.
  • 이 단계는 서파수면(Slow wave sleep, 깊은 잠)의 단계이다. 전체 수면의 10% 이상이 바람직하다.
  • 연령과 외부 자극에 취약하다.
  • 시간대는 밤 10시 ~ 새벽 2시 사이이다.
  • 인류가 생겨나서 지구의 밤낮 변화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인간의 몸에 DNA가 세팅 되어 있다.

 

5. 나이와 수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아래의 상황에 직면하게 된다.

  • 수면 유도 호르몬인 멜라토닌이 감소한다.
  • 활동량 및 빛노출이 감소한다.
  • 생체시계가 노화한다.
  • 수면 질환이 증가한다.


6. 연령별 적정 수면 시간

  • 연령별 적정 수면 시간은 아래와 같으며, 사람마다 편차가 있을 수는 있다.

연령별 적정 수면 시간




참조: "주은연의 편안한 잠, 건강한 삶", EBS, 2023년 11월 29일 방영 


강사: 주은연(성균관대 의과대학 신경과 교수)

  • 이화여대 의과대학 학사(1997.02)
  • 이화여대 대학원 의학과 석사(2001.02)
  • 이화여대 대학원 의학과 박사(2005.02)
  • 성균관대 의과대학 신경과학 조교수(2007.05~2014.08)
  • 성균관대 의과대학 신경과학 부교수(2014.09~2017.03)
  • 성균관대 의과대학 신경과학 교수(2017.04~현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