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건강] 불면증

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오늘은 중년기 수면 2번째 시간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중년기의 불청객 '불면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불면증의 대표 증상들

  • 잠들기 어렵다.
  • 자주 깬다.
  • 야뇨.
  • 잠을 자도 피곤하다.


■ 만성 불면증의 원인

  • 정신생리성 불면증(뇌가 예민한 사람)
  • 갱년기
  • 수면호흡장애
  • 하지불안증후군 또는 주기적 다리 떨림증

■ 불면증 치료법

  • 본인의 수면에 대한 인지가 중요하다.
  • 불면에 따른 주야간 활동 설문지 작성
  • 객관적으로는 액티그래피, 스마트 워치, 활동 기록기 등으로 측정한다.
  • 만성불면장애 발생 기전은 크게 기질 요인, 유발 요인, 지속 요인이 있다.
  • 3개월 이상 올바른 수면 습관을 유지하는 것은 필수이다.
  • 규칙적인 생활 또한 필수이다.
  • 제한 수면 시간은 지키되, 실제 잠든 시간을 걱정하지 않아야 한다.  


■긴장도가 높은 사람을 위한 숙면 팁

  • 걱정 노트 쓰기


■ 각성도가 높은 사람을 위한 숙면 팁

  • 나만의 취침 루틴 만들기
  • 수면 위생(수면 환경) 챙기기


■ 기질 요인에 이은 유발 요인 완화법

  • 우울증 : 항우울제 처방, 활동량 증량
  • 갱년기 여성호르몬 처방

■ 수면 강박이 있는 사람을 위한 숙면 팁

  • 수면 제한 : 제한 수면 시간은 지키되 실제 잠든 시간을 걱정하지 않는다.
  • 수면 공간 분리(자극 조절): 침대는 졸릴 때 가는 곳이지 피곤할 때 가는 곳이 아니다. 따라서, 수면외에는 침대에서의 생활은 삼가하는 것이 좋다.




참고영상

"주은연의 편안한 잠, 건강한 삶 - 중년기 수면 (1)", EBS, 2023년 12월 8일


강사: 주은연(성균관대 의과대학 신경과 교수)

  • 이화여대 의과대학 학사(1997.02)
  • 이화여대 대학원 의학과 석사(2001.02)
  • 이화여대 대학원 의학과 박사(2005.02)
  • 성균관대 의과대학 신경과학 조교수(2007.05~2014.08)
  • 성균관대 의과대학 신경과학 부교수(2014.09~2017.03)
  • 성균관대 의과대학 신경과학 교수(2017.04~현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