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건강] 중년기 수면

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중년기의 수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중년기의 수면 변화

  • 중년기는 50세 전후에 시작된다.
  • 여성의 경우 호르몬이 감소해서 갱년기 증상이 시작되고 폐경이 되는 시기가 중년기이다.
  • 수면 질환이 발생하고 이에 따른 후유증이 생긴다.
  • 수면 질환의 치료의 핵심은 신체적 증상을 발현 시키는 매개체를 찾는 것이다.

 

□ 중년기 수면 질환의 증상

 1. 주간 활동 장애가 발생. 

  • 하기의 자가 진단 리스트 중 3가지 이상이 해당되는 경우 주간 활동 장애를 의심할 필요가 있다.

낮에 졸리고 피곤하다.

반응이 둔하고 일의 효율이 떨어진다.

기억력과 집중력이 저하된다.

감정 조절이 안 되고 짜증이 난다.

의욕이 저하되고, 살 맛이 나지 않는다.

성욕이 감퇴 한다.

 2. 대사성 질환 :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통풍

 

□ 야간 증상 확인 질문

  • 잠드는데 시간이 얼마나 걸리나요? 수면 잠복기(잠들기까지 걸린 시간)는 30분까지가 정상이다.
  • 수면의 품질은 어떤가요?
  • 수면 중 야뇨가 있나요?
  •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증이 있나요?


□ 주간 증상 확인 질문

  • 낮에 졸린 증상이 있나요?
  • 우울, 불안, 초조 등 감정적인 문제가 있나요?
  • 집중력과 기억력은 괜찮은가?
  • 판단력과 실행력은 어떠한가?

 

□ 생활 습관 확인 사항

  • 음주량, 음주 습관
  • 카페인 섭취량
  • 흡연 상태
  • 운동 습관
  • 건강 이력


□ 중년기의 주요 질환

 1. 수면호흡장애

  • 어지럼증을 유발한다.
  • 수면호흡장애로 숨을 못 쉬면 심장에 엄청난 압박이 가해져서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다.
  • 혈관이 파괴되기 시작한다(심장 혈관, 뇌혈관).
  • 중년기 남성 불면증의 50%가 수면호흡장애이다.

  • 중년기의 수면호흡장애는 이후에 생기는 모든 질병의 시작점이자 매개체이다. 
  • 수면호흡장애 치료법

    • 수면 시간 늘리기
    • 금주(알콜은 누적되어 뇌를 망가뜨리는 술. 호흡 조절 중추를 파괴).
    • 양압기 사용 필수(일정한 간격으로 산소를 공급하여 뇌가 깨지 않도록 도와 줌). 
    • 규칙적인 운동

 2. 하지불안증후군

  • 하지불안증후군은 저녁이나 잠들기 전 다리에 불쾌한 느낌이 들어서 불면을 초래한다.
  • 일단 발병하면 평생 지속되기 때문에 조절해야 한다.
  • 카페인과 술은 하지불안증후군을 악화시킨다.
  • 철분을 섭취하면 호전되는 케이스가 많고 그래도 증상이 심하면 약물 치료를 해야 한다.

 3. 다리 떨림증

  • 다리 떨림증이란 수면 중 나도 모르게 다리가 움직이는 증상을 말한다.
  • 이는 노화, 철분 결핍 때문에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참조: 수면무호흡증 구분(시간당)

  • 5회 미만: 정상
  • 5~15회: 경증
  • 16~29회: 중등도
  • 30회 이상: 중증


참고영상

"주은연의 편안한 잠, 건강한 삶 - 중년기 수면 (1)", EBS, 2023년 12월 7일


강사: 주은연(성균관대 의과대학 신경과 교수)

  • 이화여대 의과대학 학사(1997.02)
  • 이화여대 대학원 의학과 석사(2001.02)
  • 이화여대 대학원 의학과 박사(2005.02)
  • 성균관대 의과대학 신경과학 조교수(2007.05~2014.08)
  • 성균관대 의과대학 신경과학 부교수(2014.09~2017.03)
  • 성균관대 의과대학 신경과학 교수(2017.04~현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