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음식] 미국 와인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미국의 와인에 대해서 알아볼 것입니다.



1. 좋은 와인의 조건: 하늘과 땅과 사람이 조화

  • 하늘과 땅과 사람이 조화를 이루어야 좋은 와인이 탄생한다.
  • 좋은 포도를 재배하기 위해서는 날씨가 허락되어야 한다.
  • 포도나무가 뿌리 내린 지역의 토양의 특징을 살펴보면 척박한 토양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좋은 포도의 조건 중 하나는 척박한 토양이다.
  • 사람은 포도의 수확을 결정한다. 포도의 수확 시기에 따라 포도의 질이 결정된다.

2. 파리의 심판

  • 파리의 심판이란 1976년 파리에서 열린 프랑스와 미국의 와인 시음회에서 생긴 사건을 말한다.
  • 미국 와인과 프랑스 그랑 크뤼 등급 와인간 비교 테스트가 시행되었다. 화이트 와인(샤토 몬텔레나)과 레드 와인(스텍스립) 테스트에서 미국 와인이 예상을 깨고 1등을 차지하였다.
  • 로버트 몬다비(1913~2008): 많은 개혁적인 기법을 도입해 미국 와인의 품질 혁신을 이끈 인물이다. 파리의 심판이 있게 한 배경이다.

3. 미국의 와인

  • 신세계 지역의 대표 와인이라고 할 수 있다.
  • 동부의 이민자들이 서부를 개척하는 과정에서 포도나무도 같이 이동 시키면서 탄생하였다.
  • 프란치스카 수도회가 남쪽에서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탄생하였다.
  • 위의 두 가지 역사의 결합으로 캘리포니아 지역의 와인이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캘리포니아 지역의 와인은 미국 와인 생산량의 90%를 차지한다.
  • 로버트 파커(미국 변호사 출신) 와인 평론가가 와인 평가제를 도입 하였다.
  • 와인 스펙테이터라는 와인 잡지가 세계 100대 와인을 선정하고 있다.
  • 최근에는 전 세계 와인 시장을 미국이 선도하기 시작했다.
  • 미국의 대표적인 와인 산지는 나파 밸리로서 인디언말로 풍요로운 땅이라는 뜻이다.
  • 캘리포니아 생산량의 5%를 차지하지만, 와인 금액으로는 30%를 차지한다. 
  • 미국 프리미엄 와인 생산지이다.
  • 컬트 와인(Cult Wine): 캘리포니아 나파 밸리에서 소량 생산되는 고품질 와인이다. 실리콘 밸리의 부호 들이 소비의 배경이 되고 있다.


4. UC 데이비스(미국 대표 농과대학 양조학과)

  • 세계 무역의 발달로 인해 미국 해충, 필록세라(Phylloxera)가 유럽에 전파되었다. 
  • 필록세라는 유럽 포도 밭의 3분의 1을 황폐화시켰다. 
  • 필록세라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에서 UC데이비스가 첨병 역할을 하였다. 
  • 그 과정을 통해 나파 밸리의 고품질 와인이 탄생하게 되었다.


5. 캘리포니아 이외의 와인 재배지역

5.1. 워싱턴주

  • 고품질 와인을 주로 제조한다. 
  • 가격은 캘리포니아 와인보다 낮다.

5.2. 오리건주

  • 피노 누아가 주요 품종이다. 
  • 저렴한 가격에 부르고뉴 와인에 버금가는 피노 누아 와인을 맛볼 수 있다.





[참조 영상]

"행복한 순간에는 와인이 필요하다 - 와인의 혁신, 미국 와인 이야기", EBS, 2023년 12월 15일


[강사 : 정하봉]

  • 국가대표 소믈리에 1호
  • 경희대학교 호텔경영학 전공
  • 2008년 '한국 왕중왕 소믈리에 선발대회 우승'
  • 2010년 칠레 산티아고에서 열린 '제13회 세계 소믈리에 대회'에서 국가대표 소믈리에로 출전
  • 프랑스 샴페인 협회로부터 슈발리에 기사 작위를, 프랑스 보르도 협회에서 보르도 코망드리 기사 작위를 수여 받음
  • 현재 소피텔 식음료 총괄 이사 / 한국 국제소믈리에 협회 수석 부회장
  • 저서 : 삶에는 와인이 필요하다(2018), 5분 와인(2019, 공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