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생성형 AI는 어떻게 인간의 창의성을 키우는가?

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요즘 생성형 AI에 대한 이야기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미지를 그리고, 텍스트를 쓰고, 음악을 만들고, 영상을 편집하는 데까지 인공지능이 관여하고 있다. AI가 인간을 대체하지 않을까 하는 걱정들도 많다. 하지만, 반대로도 생각이 가능하다. 즉, AI가 인간의 창의성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는 말이다.

최근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2023년 7-8월호에 실린 토진 T. 에이펜, 조시 포크, 로케시 벤카타스와미 세 전문가의 기고문은 이에 대한 훌륭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이번 글에서 그 내용을 요약하였다.

1. 혁신의 민주화와 활용의 어려움

  • 2000년대 이후 기업들은 고객과 사용자를 혁신의 주체로 끌어들이기 위해 다양한 시도(크라우드 소싱, 아이디어 공모전, 고객 참여형 디자인 등)를 해왔다. 
  • 하지만 문제는 아이디어가 넘쳐 나도 실현되기 어렵다는 점이다.

1.1. 수집된 혁신 아이디어를 활용하기 어려운 이유

  • 평가 과부하: 너무 많은 아이디어가 들어오면 걸러내기도, 조합하기도 어렵다.
  • 전문가의 보수성: 기존 지식에 익숙한 전문가들은 참신한 아이디어를 받아들이는 것이 어렵다.
  • 비전문가의 실현 한계: 좋은 아이디어를 내도 구현까지 구체화하긴 어렵다.
  • 조각만 보는 시야: 고객의 개별 요구에만 초점을 맞추다 보면 큰 그림을 놓칠 수 있다.

2. 생성형 AI, 창의력의 조력자

  • 수집된 혁신 아이디어를 활용하기 어려운 장면에서 생성형 AI가 빛을 발한다. 챗GPT, 미드저니, 스테이블 디퓨전 같은 도구들은 이제 단순한 보조자가 아니라, 창의성의 확장기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 
  • 다음은 생성형 AI가 어떻게 인간의 창의력의 조력자 역할을 할 수 있는 지를 보여준다.

2.1. 확산적 사고를 이끌어내기

  • 생성형 AI는 서로 관련 없는 단어들을 엮어 새롭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만들 수 있다.
    • ‘음식 + 기술 + 자동차’ → AI가 제안한 아이디어는? → 자율주행 배달 차량: AI가 최적화한 경로로 음식 배달, 온도 유지, 실시간 상태 업데이트!
    • ‘항공사 + 의자 + 대학’ → 공중 캠퍼스: 비행기 안에서 워크숍과 학습이 가능한 서비스, 이름은 "에듀플라이"!

2.2. 전문성의 편향을 넘어서기

  • 전문가일수록 기존의 프레임에 갇히기 쉽다. AI는 전혀 다른 시야로 콘셉트를 재해석 할 수 있다.
  • 게(꽃게)에서 영감을 받은 장난감 디자인 → 벽을 타는 장난감, 공을 쏘는 장난감, 반려 동물 용 사료 그릇 등 다양한 기능을 상상하게 만든다.

2.3. 아이디어 평가 보조하기

  • 챗GPT는 아이디어를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참신성, 실현 가능성, 구체성, 영향력, 작업 용이성 등 다양한 항목으로 정리해줄 수 있다.

2.4. 아이디어 고도화 지원하기

  • 생성형 AI 도구는 많은 아이디어를 결합하거나 연결해 훨씬 더 강력한 콘셉트를 만들어내는 과제를 해결해 줄 수 있다.

2.5. 사용자와의 또는 사용자 간의 협업 촉진하기

  • 신제품 아이디어나 디자인을 개발할 때 생성형 AI는 디자이너와 사용자, 사용자와 사용자 간 협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3. 진짜 창의성은 어디서 오는가?

  • 결국 생성형 AI는 사람을 대체하기 위한 도구가 아니라, 사람의 상상을 실현하고 확장하기 위한 조력자이다.
  • 인간의 창의성은 무한하지만, 그것을 시각화하고 구체화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생성형 AI는 바로 이 장벽을 없애주는 도구이다.



참고문헌
Tojin T. Eapen, Josh Folk, Lokesh Venkataswamy, Daniel J. Finkenstadt, "생성형 AI는 어떻게 인간의 창의성을 키우는가",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 한국어판」, 7-8월호, 2023.

저자
Tojin T. Eapen: 미주리대 로버트 J. 트룰라스케 경영대 조교수이자 이노만트라(Innomantra)의 수석 컨설턴트.
Daniel J. Finkenstadt: 미국 해군대학원 국방경영학 조교수이자 울프 스테이크 컨설팅 대표.
Josh Folk: 클라우드 기반 혁신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아이디어스케일 공동 창업자이자,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부문 사장.
Lokesh Venkataswamy: 이노만트라의 CEO 겸 전무이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