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음식] 이탈리아 와인과 위대한 와인의 조건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탈리아 와인과 위대한 와인의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와인 역사의 시작, 이탈리아

1.1. 안젤로 가야(angelo gaja, 1940~)

  • 이탈리아 피에몬테 와인 생산자 가야의 전 대표이다. 보르도 유학을 한 후 돌아와서 와인을 혁신 하였다.
  • 2,475리터 용량의 오크 보티(oak botti)를 225리터 용량의 바리크(barrique)로 변경 도입하였다.
  • 안젤로 가야의 혁신으로 이탈리아 와인의 르네상스가 시작되었다.


1.2. 이탈리아의 주요 산지

이탈리아의 주요 산지

  • 토착 품종 위주로 발달하였다.
  • 이탈리아 와인의 왕으로 불리는 바롤루와 이탈리아 와인의 여왕으로 불리는 바르바레스코의 주 품종은 피에몬테의 토착 품종인 네비올로(Nebbiolo)이다.
  • 피에몬테의 아스티 지역(Asti)은 뮈스카(Muscat)라는 화이트 품종으로 제조 중인 피에몬테 아스티의 스파클링 와인 모스카토 다스디가 유명하다.
  • 베네토 지역은 소아베(Soave) 지역의 화이트 와인이 유명하다. 포도를 반건조해서 만드는 발폴리첼라 와인을 아마로네가 제조한다.
  • 토스카나 지역의 대표 와인은 끼안띠라 할 수 있다. 이 와인의 품종은 산지오베제이다.


1.3. 이탈리아 와인의 혁신

  • 몇 몇 와인 생산자들이 중부 지역에서 볼게리(Bolgheri)라는 해안가로 가서 혁신을 시작하였다.
  • 국제 품종인 카베르네 쇼비뇽과 카베르네 프랑, 메를로와 산지오베제를 블렌딩하였다.
  • 사시카이아: VDT 등급으로 판정받았다. 1978년 카베르네 쇼비뇽 콘테스트에서 최고 와인으로 선정되었고 혁신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 1960년 이후 많은 혁신을 통해 이탈리아 와인은 재기에 성공한다.

이탈리안 와인 등급 분류

2. 로버트 파커

  • 미국의 와인 평론가이면서 메릴랜드주의 변호사이다.
  • 여자친구를 따라서 프랑스 여행 중에 와인에 빠지게 되었다.
  • 1978년 발간했던 <와인 애드보케이트>라는 잡지는 본인이 테이스팅 했던 와인 노트를 위주로 발간되었다.
  • 와인 평가에 객관적 지표를 도입하였다.


3. 한국인이 사랑하는 와인

  • 칠레 와인: 프랑스의 와인 주조 노하우와 칠레의 자연환경의 결합으로 규모의 경제를 형성하였다.
  • 특정 브랜드 안에서 가격 포트폴리오를 여러 가지 제시한다.
  • 국내 소비자의 마음을 사로 잡은 칠레 와인은 폭넓은 선택지를 제공한다.
  • 2004년에 FTA를 통해 15%의 관세가 철폐되면서 가성비 와인으로 등극하였다.


4. 와인에 예술을 더하다

  • 샤토 무통 로칠드: 1945년부터 세계 최고의 화가에게 라벨을 맡겼다. 이러한 전략으로 예술적 가치를 높였다.
    • 1958년 살바도르 달리 → 1970년 마르크 샤갈 → 1975년 앤디 워홀 → 1990년 프랜시스 베이컨 → 2013년 이우환 화백
  • 미국: 켄우드 브랜드 아트 마케팅을 시작하였다.
  • 호주: 마가렛 리버 지역의 르윈 에스테이트(Leeuwin Estate) 와이너리가 르윈 에스테이트 아트 시리즈를 제작하였다.


5. 위대한 와인

5.1. 20세기의 전설적인 와인들

  • 1945년/1982년 샤토 무통 로칠드
  • 1947년 샤토 슈발 블락
  • 1947년 페트뤼스
  • 1961년 라투루


5.2. 위대한 와인의 조건

  • 미각과 지적 호기심을 동시에 만족 시켜야 한다.
  • 시음자의 관심을 끌어야 한다.
  • 지나치지 않은 강렬한 향기와 풍미를 가져야 한다.
  • 마실수록 맛이 좋아진다.
  • 시간이 지나면서 진화한다.
  • 독창적인 개성을 표현한다.
  • 탄생한 땅의 특성을 반영한다.


[참조 영상]

"와인보다 맛있는 와인 이야기", EBS, 2023년 12월 19일


강사 : 정하봉

  • 국가대표 소믈리에 1호
  • 경희대학교 호텔경영학 전공
  • 2008년 '한국 왕중왕 소믈리에 선발대회 우승'
  • 2010년 칠레 산티아고에서 열린 '제13회 세계 소믈리에 대회'에서 국가대표 소믈리에로 출전
  • 프랑스 샴페인 협회로부터 슈발리에 기사 작위를, 프랑스 보르도 협회에서 보르도 코망드리 기사 작위를 수여 받음
  • 현재 소피텔 식음료 총괄 이사 / 한국 국제소믈리에 협회 수석 부회장
  • 저서 : 삶에는 와인이 필요하다(2018), 5분 와인(2019, 공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