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금의 경제학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이번 글은 박정호 교수의 강의를 바탕으로 금이 왜 인류에게 귀하게 여겨지고 오랫동안 중요하게 사용되어 왔는지, 그리고 금의 가치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에 대해 분석합니다.
주요 내용은 금의 고유한 성질, 역사적인 사용처, 화폐로서의 역할, 매장량의 희소성, 경제 상황과의 관계, 그리고 현대 산업에서의 활용 및 재활용 노력입니다.
1. 금의 고유한 성질과 초기 사용
금은 구리 다음으로 인류가 일찍 사용한 금속 중 하나 이며, 이는 전성과 연성이 뛰어나 가공하기 쉽고 녹슬지 않아 변하지 않는 성질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인류 초기부터 "고위층의 사랑"을 받았으며 장신구로 적극 활용되었다.
2. 다양한 용도로의 활용
- 장신구: "아름다운 장신구로 만들어서 이것을 활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 의학/치과: "인체 어떤 물질과도 반응하지 않고 변하지 않기 때문에 치과용 치료제로 쓰이며, 동양에서는 약재, 특히 "신경 안정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우황청심환에 사용되기도 한다.
- 화폐: 초창기 화폐는 사용 가치가 있어야 했는데, 금은 그 자체로 녹여서 다양한 사용 목적을 가진 형태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화폐 기능을 충분히 가지고 있었다. 기원전 7세기 초 리디아에서 호박금 덩어리를 화폐로 사용한 것이 가장 오래된 동전 모양의 금속 화폐로 알려져 있다. 직접적인 교류가 없었던 여러 문명권에서도 공통적으로 금이 화폐로 사용된 흔적이 있다.
3. 경제 상황과 금 가격의 관계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 시기에 금 가격이 상승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좀 더 복잡하다.
3.1. 인플레이션
금 채광 및 운송 비용 증가로 생산 비용이 증가하지만, 경기 침체로 금 선호도가 낮아지면 채산성 악화로 금광이 생산량을 늘리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공급이 줄고 금 가격이 상승할 때도 있다.
3.2. 디플레이션
생산 비용이 낮아지지만, 금 가격이 상승하여 채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특히 1929년부터 1933년의 마지막 디플레이션 구간에는 금 가격이 44% 상승한 반면, 상품 가격은 31% 하락했다. 이는 경제 불확실성 시기에는 안전 자산 선호 현상이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4. 금이 귀한 이유
4.1. 총량의 희소성
금의 총량은 우리의 예상보다 훨씬 더 작을 수 있다. 2010년 기준 채굴된 금의 총량은 165,600톤으로, 이는 "올림픽 규격 수영장 세 개하고 반 정도 채울 양이다." 완전히 소실된 금의 양이 불과 2%밖에 되지 않는 것은 인류가 금을 귀하게 여기고 있다는 반증이다.
4.2. 채굴량 및 사용 현황
5. 현대 산업에서의 활용 및 재활용의 중요성
5.1. 공업용
채굴된 금의 12%가 공업용 및 치과용 원자재로 사용된다.
노트북, 휴대폰, 반도체 등 전자제품에 소량의 금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반도체 회로 기판 연결에도 금이 사용되는데 이를 "골드 와이어"라고 한다.
5.2. 우주 산업
우주선 제작에도 사용되며, 금에는 방사선 차단 및 적외선 반사 기능이 있다.
5.3. 재활용 노력
금의 사용 목적이 넓어지고 희소성이 커지면서 "철저히 재활용"하는 것이 중요해졌다.
많은 국가들이 전자 제품 등을 금광으로 보고 법제화를 통해 금을 재활용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는 국가의 지속적인 경제 발전에 중요한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6. 결론
금은 인류 역사 초기부터 변하지 않는 성질, 가공의 용이성, 그리고 미적인 가치로 인해 귀하게 여겨져 왔다.
장신구, 의학, 화폐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었으며, 특히 경제적 불확실성 시기에 안전 자산으로서 가치를 가진다.
금의 총량이 매우 적다는 희소성은 금의 가치를 더욱 높이는 중요한 요인이다.
현대에 이르러 산업용으로의 활용이 증가하면서 채굴량은 부족하고 대부분 재활용을 통해 충당되고 있다. 이러한 재활용 노력은 금의 지속적인 가치를 유지하고 미래 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참고영상]
"금이 귀한 이유", EBS, 2023년 2월 14일
- 명지대학교 특임교수
- 한국경제산업연구원 부원장
- 전 KDI 전문연구원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