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경제] 콩의 경제학

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산업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콩의 가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콩의 원산지 및 역사적 중요성:

  • 박정호 교수는 콩의 원산지가 한반도와 만주 일대라고 주장한다.
  • 박정호 교수는 두만강(豆滿江: 콩이 가득한 강)이라는 지명을 근거로 제시하며, 콩이 우리 민족에게 가장 오래되고 친숙한 토착 작물임을 강조한다.
  • 우리 조상은 콩을 오랫동안 주식으로 삼아왔다.
  • 콩나물 재배의 유일성: 콩을 나물 형태로 길러 먹는 나라는 한국이 거의 유일하다고 언급하며, 이는 한국의 독특한 콩 활용 방식임을 강조한다.


콩의 전 세계적 전파 및 중요성 인식:

  • 콩이 전 세계로 전파된 계기는 청나라 말기 서구 열강 세력이 만주와 한반도에서 콩을 접하게 되면서이다.
콩의 원산지와 전파경로

  • 본격적으로 콩의 가치가 인식되고 활용된 것은 전쟁을 통해서이다.
    • 러일전쟁 (1905년): 러시아 병사들이 비타민 C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을 때, 러시아 기지의 식량 창고에 가득했던 콩이 주목 받았다. 단백질 보충의 중요성이 인식되었으나, 비타민 C 섭취에 더 효과적인 콩나물의 존재는 러시아가 몰랐었다. 
    • 1, 2차 세계 대전: 식량난 속에서 콩이 안정적인 식량 공급원으로 활용되었다. 영국은 콩가루를 밀가루와 섞어 사용했으며, 미국은 콩가루를 활용한 빵, 콩고기, 콩 죽을 배급했다. 이는 콩이 필수 영양소, 특히 단백질 공급원으로서의 중요성을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 미국의 콩 연구 및 유전자원 수집: 미국은 콩의 중요성을 가장 먼저 인식하고 콩 연구에 적극적으로 나섰었다.
  • 1929년 미국 농무성은 동양에 식물 탐험 원정대를 파견하여 콩 유전자원을 수집했다. 수집된 종자의 상당수 (85% 이상)가 조선 영토 근처에서 수집되었다. 탐험대의 보고서에는 "조선에서 모은 자료와 사진 만으로도 충분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한국의 콩 유전자원이 풍부했음을 알려준다.
  • 한국 전쟁: 미군의 참전으로 한국의 콩 종자가 다시 한번 미국인들에게 알려지고 그 중요도가 인식되는 계기가 되었다. 미국의 콩 연구소가 보유한 종자 중 일부는 한국 전쟁 때 가져간 것이 많다고 한다.


현재 콩의 주요 생산국 및 생산량

  • 현재 전 세계 콩 생산량의 대부분은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가 차지하고 있다.

주요 콩 생산국가

    • 미국: 약 35%
    • 브라질: 약 30%
    • 아르헨티나: 약 20%
  • 이 세 국가가 전체 생산량의 약 85%를 차지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 이들의 시장 지배력은 생명공학 기술, 특히 GM 작물(유전자 조작 작물)의 도입을 통해 단위 면적당 생산량을 극대화함으로써 확보되었다. 미국의 경우 GM 콩 생산량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 콩 산업의 현황:

  • 한국은 콩의 원산지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콩 자급률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 1975년 98%에 달했던 식용 콩 자급률이 현재는 세계 10대 콩 수입 국가로 전락했다.


콩의 다양한 활용 분야 및 미래 중요성:

  • 현재 전 세계 콩 재배의 주 목적은 가축 사료이다. 이는 육류 공급에 있어 콩이 근본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 콩의 활용 가치는 식량을 넘어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 바이오 에너지: 초기 디젤 엔진은 콩기름을 원료로 사용했으며, 화석 에너지 고갈 및 환경 문제로 인해 신재생 에너지원으로서 콩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 플라스틱 대체: 콩의 단백질은 뛰어난 탄성과 강도를 가지며,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원료로 주목 받고 있다. 이는 환경 오염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
  • 섬유: 콩 섬유는 친환경 천연 섬유 소재로서 실크와 유사한 느낌을 주며, 가볍고 부드러워 의류 제작에 활용되고 있다.
  • 잉크: 오일 쇼크 이후 석유 기반 잉크의 대안으로 콩 잉크가 개발되었으며, 현재 미국 일간 신문의 90~95%가 콩기름 기반 잉크를 사용하고 있다. 콩 잉크는 환경 친화적이며, 손에 묻지 않고 냄새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결론 및 제언:

  • 콩은 "기적의 작물", "밭에서 나는 쇠고기", "땅에서 자라는 금"으로 불릴 만큼 필수 영양소 공급원으로서 인류의 위기 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 박정호 교수는 콩의 원산지로서 한국이 현재 콩 산업에서 뒤처져 있는 현실에 대한 아쉬움을 표하며, 콩의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콩 종주국으로서 콩의 중요성을 다시 인식하고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참고영상]
"박정호의 「생활 속 사물의 경제학」03. 콩은 전부 한국산이다.", EBS, 2023년 2월 2일

강사: 박정호

  • 명지대학교 특임교수
  • 한국경제산업연구원 부원장
  • 전 KDI 전문연구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