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산업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 콩의 가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콩의 원산지 및 역사적 중요성:
- 박정호 교수는 콩의 원산지가 한반도와 만주 일대라고 주장한다.
- 박정호 교수는 두만강(豆滿江: 콩이 가득한 강)이라는 지명을 근거로 제시하며, 콩이 우리 민족에게 가장 오래되고 친숙한 토착 작물임을 강조한다.
- 우리 조상은 콩을 오랫동안 주식으로 삼아왔다.
- 콩나물 재배의 유일성: 콩을 나물 형태로 길러 먹는 나라는 한국이 거의 유일하다고 언급하며, 이는 한국의 독특한 콩 활용 방식임을 강조한다.
콩의 전 세계적 전파 및 중요성 인식:
- 콩이 전 세계로 전파된 계기는 청나라 말기 서구 열강 세력이 만주와 한반도에서 콩을 접하게 되면서이다.
 |
콩의 원산지와 전파경로 |
- 본격적으로 콩의 가치가 인식되고 활용된 것은 전쟁을 통해서이다.
- 러일전쟁 (1905년): 러시아 병사들이 비타민 C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을 때, 러시아 기지의 식량 창고에 가득했던 콩이 주목 받았다. 단백질 보충의 중요성이 인식되었으나, 비타민 C 섭취에 더 효과적인 콩나물의 존재는 러시아가 몰랐었다.
- 1, 2차 세계 대전: 식량난 속에서 콩이 안정적인 식량 공급원으로 활용되었다. 영국은 콩가루를 밀가루와 섞어 사용했으며, 미국은 콩가루를 활용한 빵, 콩고기, 콩 죽을 배급했다. 이는 콩이 필수 영양소, 특히 단백질 공급원으로서의 중요성을 확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 미국의 콩 연구 및 유전자원 수집: 미국은 콩의 중요성을 가장 먼저 인식하고 콩 연구에 적극적으로 나섰었다.
- 1929년 미국 농무성은 동양에 식물 탐험 원정대를 파견하여 콩 유전자원을 수집했다. 수집된 종자의 상당수 (85% 이상)가 조선 영토 근처에서 수집되었다. 탐험대의 보고서에는 "조선에서 모은 자료와 사진 만으로도 충분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한국의 콩 유전자원이 풍부했음을 알려준다.
- 한국 전쟁: 미군의 참전으로 한국의 콩 종자가 다시 한번 미국인들에게 알려지고 그 중요도가 인식되는 계기가 되었다. 미국의 콩 연구소가 보유한 종자 중 일부는 한국 전쟁 때 가져간 것이 많다고 한다.
현재 콩의 주요 생산국 및 생산량
- 현재 전 세계 콩 생산량의 대부분은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가 차지하고 있다.
 |
주요 콩 생산국가 |
- 이 세 국가가 전체 생산량의 약 85%를 차지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 이들의 시장 지배력은 생명공학 기술, 특히 GM 작물(유전자 조작 작물)의 도입을 통해 단위 면적당 생산량을 극대화함으로써 확보되었다. 미국의 경우 GM 콩 생산량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 콩 산업의 현황:
- 한국은 콩의 원산지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콩 자급률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 1975년 98%에 달했던 식용 콩 자급률이 현재는 세계 10대 콩 수입 국가로 전락했다.
콩의 다양한 활용 분야 및 미래 중요성:
- 현재 전 세계 콩 재배의 주 목적은 가축 사료이다. 이는 육류 공급에 있어 콩이 근본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 콩의 활용 가치는 식량을 넘어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 바이오 에너지: 초기 디젤 엔진은 콩기름을 원료로 사용했으며, 화석 에너지 고갈 및 환경 문제로 인해 신재생 에너지원으로서 콩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
- 플라스틱 대체: 콩의 단백질은 뛰어난 탄성과 강도를 가지며,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원료로 주목 받고 있다. 이는 환경 오염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다.
- 섬유: 콩 섬유는 친환경 천연 섬유 소재로서 실크와 유사한 느낌을 주며, 가볍고 부드러워 의류 제작에 활용되고 있다.
- 잉크: 오일 쇼크 이후 석유 기반 잉크의 대안으로 콩 잉크가 개발되었으며, 현재 미국 일간 신문의 90~95%가 콩기름 기반 잉크를 사용하고 있다. 콩 잉크는 환경 친화적이며, 손에 묻지 않고 냄새가 적다는 장점이 있다.
결론 및 제언:
- 콩은 "기적의 작물", "밭에서 나는 쇠고기", "땅에서 자라는 금"으로 불릴 만큼 필수 영양소 공급원으로서 인류의 위기 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 박정호 교수는 콩의 원산지로서 한국이 현재 콩 산업에서 뒤처져 있는 현실에 대한 아쉬움을 표하며, 콩의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현재 시점에서 콩 종주국으로서 콩의 중요성을 다시 인식하고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참고영상]
"박정호의 「생활 속 사물의 경제학」03. 콩은 전부 한국산이다.", EBS, 2023년 2월 2일
강사: 박정호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