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이 글은 스탠퍼드 대학교 재무학과 대릴 더피(Darrell Duffie) 교수의 강연을 기반으로 합니다.
강연의 핵심은 지정학과 달러 지배력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미국이 역사적으로 달러 지배력을 구축하고 유지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왔는지, 그리고 최근 지정학적 목표 달성을 위해 달러 지배력을 희생하는 경향과 중국 위안화의 부상을 위한 노력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미국의 의도적인 달러 지배력 구축
로버트 만델(Robert Mandell) 캐나다 출신의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는 "1993년에 강대국이 강한 통화를 갖는다"(Great powers have great currencies)"는 말을 남겼다.
미국 정부는 의도적으로 달러의 지배력을 강화해왔다. 그 결과 달러의 지배력은 미국의 국가 안보와 지정학적 이익, 경제적 이익에 기여해왔다.
1.1. 브레튼 우즈 협정
제2차 세계 대전 후 브레튼 우즈 협정을 통해 새로운 통화 질서가 확립되었다. 브레튼 우즈 협정이 진행되는 동안 미국 재무부 대표는 다른 국가들에 지정학적 영향력을 행사하여 미국 달러가 주요 통화가 되도록 합의를 얻어냈다. 존 메이너드 케인스 등 일부 인사는 달러가 중심 통화가 될 필요는 없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1.2. 사우디아라비아와의 비밀 거래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 간의 비밀 거래를 통해 사우디는 석유 수익을 장부에 기록하지 않고 미 국채에 투자하기로 했다. 미국은 사우디의 석유를 계속 사용하면서 군사 지원을 제공했다. 이는 지정학과 금융이 결합되어 달러 지배력을 지원하고 미국의 안보 이익을 달성한 사례라고 할 수 있다.
2. 최근 미국의 달러 지배력 지원 변화 및 제재의 영향
최근에는 미국 정부가 국제적으로 달러 의존도를 구축하는 데 과거처럼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지 않고 있다. 이미 달러가 기축 통화이기 때문에 굳이 달러 지배력을 강화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거나, 지정학적 목표 달성이 달러 지배력 유지보다 우선순위에 있다고 판단했을 수 있다.
2.1. 제재의 의도치 않은 결과
미국 정부는 경제적 제재를 통해 다른 정부와의 금융 및 경제 거래를 제한하고 있는데, 이는 미국의 지정학적 목표 달성에 유용할 수 있지만, 달러 지배력에는 의도치 않거나 잠재적으로 부작용을 초래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 국채를 동결한 이후, 일부 국가들은 미국의 제재 위협을 피하기 위해 국경 간 결제에서 미국 달러 의존도를 줄이려고 시도하고 있으며, 외환 보유고로 미 국채에 투자하는 비중도 줄이고 있다.
최근 20년 간 미국은 달러 지배력을 확대하기 위한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았으며, 오히려 달러가 지배적이라는 사실을 이용하여 국제적으로 지정학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3. 중국의 위안화 비중 확대 전략
주요 G2 경제 대국 중 하나 인 중국은 위안화가 미국 달러의 잠재적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보고, 국제 경제에서 위안화의 비중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조치를 취했다.
3.1.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중국이 여러 국가와 체결한 협정이다.
3.2. 본드 커넥트(Bond Connect)
중국의 채권 매매 프로그램이다. 위원화로 된 증권을 세계적으로 더 쉽게 사고팔 수 있는 창구이다.
3.3. 국제 은행과 체휴
다수의 국제 은행과 결제 은행 관계를 설정하여 이들 은행이 국제 고객과 위안화를 보유하고 교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위안화를 국경 간 결제 통화 및 가치 저장 수단으로 사용을 유도하는시도이다.
3.4. 국경 간 양자 무역 거래
위안화를 청구 통화로 사용하는 양자 간 무역 협정을 체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우디아라비아가 석유 판매 대금을 달러가 아닌 위안화로 청구하는 '석유-위안' 거래가 있다.
3.5. 위안화 국제 결제 시스템(CIPS)
유럽과 미국 시중은행들이 설립한 달러 중심의 국제 은행 결제망인 SWIFT의 대안으로 CIPS를 구축했다. CIPS는 은행들이 SWIFT에 의존하지 않고도 위안화와 다른 통화를 교환할 수 있도록 했다. CIPS의 참여 은행 수와 결제 량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아직 SWIFT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중국은 국경 간 결제 시스템을 더욱 탄력적으로 만들고 국경 간 결제에서 미국 달러 의존도를 줄이기를 원하지만, 중국 은행들의 달러 자금 조달 필요성 측면에서는 여전히 달러에 취약하다.
3.6. 미국 국채 보유량 감소
중국은 공식적으로 외환 보유고에서 미국 국채 의존도를 상당히 줄이고 있다. 그러나 비공식 계정을 통해 상당량의 미국 국채를 보유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다.
중국은 최근 금 투자를 통해 외환 보유고를 미국 달러 외 다른 형태로 늘리고 있다. 이는 우크라이나 전쟁 후 러시아의 국채 동결 사태를 고려할 때, 외국 제재에 대한 취약성을 줄이기 위한 논리적인 조치로 보인다.
4. 지정학과 통화 지배력의 양방향 관계
지정학과 달러 패권 혹은 통화의 힘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국가들은 국력을 이용하여 자국 통화에 대한 국제적 의존도를 높이려 한다.
반대로, 통화의 힘을 이용하여 지정학적 이점을 얻기도 한다.
이러한 노력이 양방향으로 작용하면 다음과 같은 선순환이 일어날 수 있다.
통화의 힘을 강화하면 그 통화가 더 많이 쓰이게 되고 결국 지정학적 영향력을 높이는 긍정적 결과를 낳는다.
5. 최근 미국의 우선순위 변화
최근 미국 정부는 달러 패권을 희생하더라도 지정학적 목표를 달성하려 했다.
이는 미국 정부의 우선순위가 반영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지정학적 목표에 더 집중되어 있거나, 이미 달러가 충분히 강하기 때문에 지배력 감소에 대해 크게 신경쓰지 않고 있을 수 있다.
미국 정부는 단일 의사결정 주체가 아닌 복잡한 거버넌스 시스템이기 때문에 정확한 진실은 알 수 없다.
[참고영상]
"대럴 더피 <달러 패권의 시대> 2강. 달러는 어떻게 미국을 강하게 만드나?", EBS, 2025년 1월 27일
강사: 대럴 더피(스탠퍼드대학교 경영대학원 재무학과 교수)
- 금융안정위원회 시장참가자 그룹 의장(2013~2017)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