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R] 기업은 무엇으로 성공하는가?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오늘날 기업이 성공하려면 조직 외부의 관점에서 세상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고, 조직 내부에 유연성을 확보해서 꾸준히 적응하고 변할 수 있어야 한다. 개별 소비자에게 집중하고, 환경 변화에 맞추어 역동적인 핵심 역량을 확보하고 위계가 아닌 현장 부서에 의지하면서 데이터와 알고리즘을 활용해야 한다.
1. 과거 성공한 기업들의 모습
1.1. 헨리 포드
1세기 전, 헨리 포드가 세상을 바꿔 놓은 솔루션을 내놨다. 톱다운 매니지먼트와 조립라인 양산 시스템을 구축했다. 생산 과정 표준화를 통해 1대당 제조원가를 절감했다. 이러한 시스템은 많은 회사들에 도입되었고 본격적인 산업 활동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이로 인해 전 세계 평균 생활 수준이 높아졌다.
1.2. 알프레드 P. 슬론 주니어(Alfred P. Sloan Jr.)
포드가 표준화를 도입했다면, GM의 CEO 알프레드 P. 슬론 주니어(Alfred P. Sloan Jr.)는 차량 가격대, 제조사, 모델, 색상, 스타일 등의 여러 요소별로 다양한 차량을 선보이는 전략을 도입했다.
시장을 세분화하고 다양한 제품과 브랜드를 관리하기 위해 이에 맞는 조직 구조를 도입했다. 즉 사업부제를 도입했는데 각 사업부별 손익계산서를 도입하고 최고책임자를 배치하였다.
1.3. GE
1950년대 GE도 GM과 같은 사업부제를 도입하는 동시에 일반 관리자를 양성하기 위한 16주 교육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세계적인 인재 양성기관 뉴욕 크로톤빌 연수원의 전신이다. 그 이후 유명 대학과 컨설팅업체도 각종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1.4. 매트릭스 구조
기업들은 기업들의 규모와 점유율, 위계 구조가 계속 커짐에 따라 구조 전반을 조정할 필요가 생겼다. 이에 다국적 자동차부품업체 TRW, 종합건설사 벡텔, 시티은행,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등 여러 기업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용해 제품과 본사 및 해외 조직 전체에 보고 라인과 책임을 부여하였다.
1.5. 컴퓨터의 발달과 인터넷의 도입
1990년대 인터넷이 보급되고 알고리즘이 사람보다 더 빨리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됐으며, 더 저렴하고 강력한 컴퓨터 처리 능력을 가진 컴퓨터가 보급되었다. 제프 베이조스는 인터넷의 성장을 보면서 온라인 서점 아마존을 창립했다. 아마존은 온라인 리테일 스토어이자 기업 웹서비스 분야 선도 주자이다.
2. HBR 독자가 말하는 성공하는 기업의 비밀
2022년 7월 HBR 링크드인 그룹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답변을 기반으로 성공하는 기업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소비자가 원하는 바를 충족해줄 뿐만 아니라 잠들어 있는 미래 수요까지 발굴하는 기업
- 직원들이 아침 일찍 일어나 역량과 시간을 쏟아부어 회사가 추구하는 가치를 실현하고자 하는 기업
- 목적과 보상, 문제 해결에서 사회의 필요를 채워주고 직원에게 만족감을 주는 기업
- 사람, 과정, 기술이 어떻게 조화되는지 이해하고 소비자 이익과 공익을 위해 이를 실현하는 기업
- 직원과 고객, 커뮤니티, 주주, 공급업체 등 모든 이해관계자를 의사결정에서 고려하는 조직. 이러한 조직은 이해관계자들과 양방향으로 소통하는데 두려움이 없다.
- 일과 과정의 균형을 제대로 보장해 주는 기업
- 트렌드가 아니라 목적에 따라 움직이는 기업
- 사회와 경제 변화에 따른 필요를 자사의 인력에게 인지시키는 기업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