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리스크 관리와 예측의 한계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1. 팻 테일(Fat Tail) 현상과 예측의 한계
전설적 투자자 제시 리버모어의 저서 <어느 주식투자자의 회상> 에 이런 문구가 있다. "태양계에 살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따금 날벼락을 맞게 된다. 이로 인해 서글픈 사실을 다시 한번 상기하게 된다. 그 어떤 누구라도 외부의 영향력에서 벗어나서 시장에 대해서 항상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는 없다는 것을." 이 말은 제시 리버모어가 '루시타니아 폭락 사태'를 겪고 나서 한 말로 예상치 못한 사건들이 얼마나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1.1. 팻 테일의 개념
팻 테일(Fat Tail)은 통계학의 정규분포(Normal Distribution)에서 평균 값이 집중될 확률이 낮아져 양쪽 꼬리가 두꺼워 진 것을 말한다.
![]() |
1.2. 역사적 사례
1.2.1. 루시타니아 호 침몰
루시타니아호는 영국 리버풀에서 미국 뉴욕까지 정기적으로 왕복하던 3만톤급의 초호화 여객선이다. 1915년 5월 7일 약 2천명의 승객과 승무원을 태우고 아일랜드 퀸 세일 앞바다를 지나고 있던 루시타니아호는 전쟁 물자 차단을 목적으로 하는 독일 잠수함의 잘못된 공격을 받고 침몰한다. 루시타니아 호 침몰 사건으로 인해 중립국이었던 미국이 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게 되고, 이에 대비하지 못했던 전설적 투자자 제시 리버모어도 큰 손실을 입었다.
1.2.2. 스페인 독감과 코로나19
100년 전 5천만 명의 사망자를 낸 스페인 독감 이후 다시는 없을 것이라 생각했던 전염병이 코로나19로 재발하여 전 세계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1.2.3. 마이너스 금리 파생상품
2015년 "금리가 마이너스를 가겠냐"는 안일한 예측으로 독일 및 스위스 국채 금리에 연동된 파생상품에 투자했던 사람들이 원금 전액 손실을 입는 사태가 발생했다.
1.2.4. 예측의 한계
과거 데이터에 대한 지나친 의존은 오류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겪어 보지 않은 일일수록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더 크고, 투자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천재는 내가 아니라 상승장이다"라는 말이 있듯이, 상승장에서는 대다수가 수익을 얻을 수밖에 없지만, 약세장이 찾아왔을 때 진정한 리스크 관리가 드러난다.
2. 삼대가 부를 쌓는 리스크 관리법
실제 부자들은 다음과 같이 리스크에 접근한다.2.1. 신중함과 의심
강연자는 "부자들은 굉장히 신중하고 의심이 많은 경우가 많다. 다양한 가능성을 분석하고 철저히 검증한 후에도 투자 원금 전액을 투자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라고 전한다.
2.2. 예측 불가능성의 수용
부자들은 "한 번도 일어난 적이 없는 일도 언제든 일어날 수 있다."라고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그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하는 방향으로 투자를 한다.
2.3. 준비성 투자
강사는 나심 탈레브(Nassim Taleb)의 "예측이 아니라 준비성에 투자하라"는 말을 인용하며, 미래를 정확히 전망하는 것보다 어떤 일이 벌어져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준비가 중요함을 강조한다.
3. 상생의 철학을 통한 지속 가능한 부
경주 최부잣집의 사례는 단기적 이윤 추구가 아닌 장기적인 관점에서 상생이 어떻게 부를 지속시키는지를 설명한다.경주 최부잣집의 6가지 가훈은 다음과 같다.
- 첫 번째, 벼슬은 진사 이상은 하지 말라.
- 두 번째, 재산은 만석 이상 모으지 말라.
- 세 번째, 과객을 후하게 대접하라.
- 네 번째, 흉년에는 남의 논밭을 사지 마라.
- 다섯째, 최씨 가문 며느리들은 시집을 온 후에 3년 동안 무명옷을 입게 하라.
- 여섯째, 사방 백리 안에 굶어 죽는 사람이 없게 하라.
3.1. 상생의 경제 구현
3.1.1. 흉년 시 논밭 매입 금지
이는 흉년에 논밭을 헐값에 사들이는 것을 금지하고 오히려 곡식을 풀어 주변 사람들을 구제함으로써 상생의 모습을 보였다. 즉 "논을 헐값에 팔아 넘기고 가슴에 피멍이 든 사람들의 원한이 최부잣집으로 향하게 되면 결코 이로울 것이 없다"는 판단을 내렸던 것이다.
3.1.2. 소작료 인하
재산이 만석을 초과하면 소작료(수확량의 7~8할)를 낮춰 소작인들의 부담을 줄여 주었다. 이는 소작인들이 최부잣집과 일하고 싶어 앞다투어 달려가는 결과로 이어졌고, 최부잣집이 더 부자가 되면 소작농도 잘되는 상생의 경제가 구현되었다고 할 수 있다.
4. 현대 부자들의 특징
강연자는 부자들은 "금융 상품이나 돈을 낭비하는 것에 대해서는 스크루지처럼 깐깐하게 굴면서도 자신에게 좋은 정보와 도움을 주는 사람에게는 아낌없이 베푸는 사람들"이 많았다고 언급하며, 이는 최부잣집의 상생 철학과 일맥상통한다고 분석했다.
최부자집이 300년 동안 부를 유지할 수 있었던 까닭은 상생의 철학을 누구보다 적극적으로 실천했기 때문이다. 이는 리스크 관리의 궁극적인 방법 중 하나가 상생에 있음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5. 결론: 장기적인 관점의 중요성
불확실한 미래를 예측하기보다는 어떤 상황에도 흔들리지 않는 준비성에 투자하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리스크를 통제하고 지속 가능한 부를 추구해야 한다. 현실은 언제나 전망했던 것과 다른 사건들이 발생한다.[참고영상]
"팻 테일과 리스크 관리", EBS, 2024년 8월 1일
강사: 박소연(애널리스트)
- 신영증권 리서치센터 투자전략 담당 이사
- 수상
- 2016년 서울경제 올해의 애널리스트 수상
- 2021년 매일경제 증권대상
- 저서
- 딸아, 돈 공부 절대 미루지 마라(2023)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