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정치적 결정이 사회와 소속 집단의 영향을 얼마나 받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사회적 정체성 이론과 집단 심리의 기본 개념
인간은 선천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정신적 동맹을 형성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집단 형성에 매우 중요한 특징이다. 사회적 정체성 이론은 영국의 저명한 심리학자 헨리 타지펠에 의해 수립된 이론으로 그는 사회 정체성을 개인의 자아 의식의 일부라고 정의했다. "내 일부는 내가 속한 집단에 관한 나의 지식과 이해, 정서적 중요성으로부터 비롯된 것이다."
1.1. 내집단(Ingroups)과 외집단(Outgroups)
- 내집단: 우리가 소속감을 느끼는 집단(예: 인종, 민족, 종교, 지역 등).
- 외집단: 우리가 소속되지 않은 집단. 인간은 내집단에 속한다고 해서 반드시 외집단 사람들을 미워하는 것은 아니다.
1.2. 범주화(Categorization)
사회 정체성 이론에 따르면 인간의 인지 시스템은 정보 처리의 한계로 각각의 대상들을 분류하려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어떤 후보자를 그가 속한 정치적 집단이나 사회적 집단에 따라 분류하곤 한다. 법주화는 우리가 다른 사람을 내집단 또는 외집단으로 분류하는 데 사용된다.
어떤 사람을 외집단으로 분류하면 그들을 하나의 집단으로 보려고 한다. 우리는 내집단 안의 차이는 볼 수 있지만 외집단의 차이는 거의 보지 못한다. 민족이 다르고 국적이 달라도 모두 같은 것으로 묶어 버린다. 따라서 '타자'라는 범주는 사회 정체성 이론에서는 매우 중요하다.
1.3. 집단 소속의 동기와 긍정적 자기 평가 (Motivation for Group Belonging and Positive Self-Regard)
타즈펠(Tajfel)과 그의 동료들의 연구에 따르면 인간은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진 집단에 소속되고 싶어하고 그 긍정적 이미지를 방어하려고 한다고 한다. 즉 자신이 속한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낫기 바라는 것이다. 이는 매우 보편적인 인간 심리이다 .
2. 내집단 편향과 그 영향 (Ingroup Bias and its Implications)
내집단 편향은 집단 소속감이 정치적 선호도와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개념이다. 이는 같은 집단의 사람을 더 선호하는 인간의 편향을 말한다. 이는 인간이 자신의 집단에 속한 사람들에게 긍정적으로 편향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2.1. 위협과 집단의 지위 (Threat and Group Status)
내집단 편향은 집단이 위협을 느낄 때 더욱 강화될 수 있다. 특히 고위 지위 집단(예: 주류 민족, 주류 종교)에 속한 사람들이 어떤 종류의 위협에 직면하면, 그들은 낮은 지위 집단에 속한 사람들보다 더 강력하게 반격한다.
이는 일부 서구 민주주의 국가에서 다수 집단이 이민자 문제에 맞서는지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며, 남성들이 자신의 지위가 하락한다고 느낄 때 더 강력하게 방어하는 것과 같은 현상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자신들의 상위 지위가 하락한다고 느끼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위 위협은 내집단 편향이 강하지 않다가도 집단 구성원이 위협을 받으면 적대감으로 바뀌게 된다.
2.2. 존중과 지위를 위한 투쟁 (Fighting for Respect and Status)
모든 집단 구성원은 자신들의 집단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유지하려고 노력한다. 낮은 지위의 집단에 속한 사람들도 자신의 집단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회복하기 위해 노력한다.
결론은 인간은 집단에 속하면 긍정적인 위치를 지키기 위해 분투한다는 것이다. 인간은 존중을 원한다. 집단 외부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싶어한다. 이것이 정치의 본질이기도 하다.
사람들은 물질을 놓고 싸우기도 하지만 존중과 지위를 위해 싸우기도 한다.
2.3. 집단 정체성과 정치적 정당의 연결 (Alignment of Group Identity and Political Party)
인종이나 민족적 정체성이 종종 특정 정당과 긴밀하게 결속하게 된다. 이 둘이 결합하면서 정당 정체성이 강화되는 것이다. 이는 집단 구성원들이 해당 정당이 자신들을 존중하고, 공정하게 대하며, 자신들의 물질적 이익을 보호할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결이 발생하면 정체성의 연합(identity alignments)이 시작되며, 이는 더 강력한 당파심과 정치에서의 더 많은 열기와 감정으로 이어진다.
2.4. 사회적 압력과 집단 유지 (Social Pressure and Group Maintenance)
집단이 특정 정치 정당과 강하게 연결되면, 사회적 압박을 통해 그 연결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미국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민주당과 강하게 결속 되어 있는 경우, 그 집단내 구성원들은 서로를 쉽게 감시할 수 있다. 즉 집단내 누군가가 집단과 관련된 정당을 지지하지 않으면 "자신들의 집단을 돌보지 않는다고 꾸짖으며 연결을 유지하려 들 것이다. 이는 사람들은 집단에 속함으로써 선호하는 정당이 정해지고 고정돼 버리게 된다.
3. 결론
인간에게는 집단 정체성이 있고 소속된 사회 집단을 옹호하고 싶어한다. 이런 마음은 정치적 성향으로 이어질 수 있다. 자신의 집단을 존중하고 고려한 정책을 지지한다. 자신의 집단을 존중하는 후보자를 더 지지하고 정치적 요직에 집단 구성원을 앉혀 줄 정당을 지지한다.
[참고영상]
"레오니 허디 〈정치의 심리학〉02. 정치 편향은 왜 생기는가", EBS, 2025년 1월 31일
강사: 레오니 허디(Leonie Huddy)
- 뉴욕 스토니브룩대 정치학과 석좌 교수
- 미국 전국 선거 연구 이사회
- 전 국제 정치심리학회 학회장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