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이 글은 레오니 허디 교수의 권위주의 정부의 지지자들 강연을 바탕으로 권위주의적 성향의 지지자들이 가지는 심리적 특성, 정치적 행동 양식, 그리고 이들이 현대 정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1. 개인적 특성과 정치적 성향의 연관성
개인의 정치적 행동은 집단 정체성(인종, 민족, 종교, 지역 등)뿐만 아니라 개인의 성격 특성에도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특히 Big Five 성격 모델(성격의 5요소: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 우호성, 신경성) 중 두 가지 차원이 정치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 개방성(Openness): 새로운 경험과 아이디어에 대한 개방성은 정치적 좌파 성향과 강하게 연결된다. 창의적이고 새로운 경험에 개방적인 사람은 정치적 좌파에 속할 가능성이 높으며, 새로운 종류의 사람들이 국가에 오는 것에 더 개방적이다. 개방성이 낮은 사람들은 현상 유지를 위해 싸울 것이며 전통적인 것에 초점을 맞춘다.
- 성실성(Conscientiousness): 성실성이 높은 사람들은 충동적인 행동을 자제하고, 계획과 정리, 임무 수행을 잘한다. 정치적 우파와 연관된다.
이러한 성격 특성들은 특정 정당에 대한 선호도 뿐만 아니라 투표 행위에도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개방성이 높은 사람은 좌파 정당에 투표하는 경향이 있고, 성실성이 높은 사람은 우파 정당에 투표하는 경향이 서구 민주주의 국가들(미국, 영국, 이탈리아, 독일, 뉴질랜드, 스페인, 그리스, 폴란드 등)에서 관찰되었다.
2. 권위주의(Authoritarianism) 개념의 이해
개인의 성격 특성 외에, 현대 정치에 더욱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개념은 권위주의이다. 이는 빅 파이브와 관련이 있지만, 유전적 요인 외에 교육과 사회화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2.1. 권위주의의 전통적 측면
전통적으로 권위주의는 여러 측면을 포함한다.
- 권위적 인물에 대한 순응과 지지: 권위주의가 높은 사람은 현재 지도자들을 지지하고 권위에 복종하는 경향이 있다.
- 현상 유지에 대한 불만 및 공격성: 권위주의자들은 상황이 달라지고 사회에 변화가 일언면 신참이나 지위가 낮은 사람에게 공격성을 분출한다. 즉, 순종과 공격성을 동시에 갖는다.
2.2. 권위주의 연구의 역사적 배경
권위주의 개념은 나치 독일을 탈출한 유럽 학자들이 UC버클리를 중심으로 진행한 연구에서 시작되었다. 이들은 독일인들이 어떻게 히틀러와 협력하고 나치 정권과 홀로코스트를 지지할 수 있었는지 이해하고자 했다. 이 연구는 권위주의적 성격(The Authoritarian Personality)이라는 유명한 책으로 이어졌다. 캐나다 연구자 밥 알트마이어(Bob Altmeyer)가 우파 권위주의(right-wing authoritarianism) 개념으로 이 연구를 발전시켰고, 현재는 스탠리 펠드만(Stanley Feldman) 교수가 이 개념을 정치학에 적용하고 있다.
2.3. 스탠리 펠드만의 권위주의 정의
스탠리 펠드만은 권위주의적 성향의 사람들은 개인적이고 자율적인 방식보다 사회적 순응에 더 높은 가치를 두는 사람들로 정의한다. 모든 사람은 사회적 순응과 다양성/자율성 사이의 긴장을 경험하지만, 특정 상황에서 권위주의적 성향이 발현된다는 것이 그의 주요 통찰이다. 그는 사회가 급격한 사회 변화에 직면했을 때, 사회적 순응과 자율성이 정치적으로 발동한다
3. 사회적 위협과 권위주의의 정치적 발현
사회적 위협은 권위주의적 성향이 정치적 행동으로 나타나게 하는 핵심 트리거이다.
3.1. 위협 상황의 활성화
이민자 유입, 성 규범 변화와 같은 상황에서 권위주의자들은 이민에 반대할 수 있다.
정치 지도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그들은 위협을 부풀리거나 축소할 수 있다.
3.2. 포퓰리즘 지도자와의 연계
도널드 트럼프와 같은 권위주의적 경향을 가진 지도자들은 권위주의적 성향의 유권자들에게 호소한다. 이들은 사회가 무너지고 있다, 분열되고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2015년 발언은 이러한 전략의 전형적인 예시이다. 그는 "멕시코가 사람들을 보낼 때, 잘난 사람들을 보내지 않는다. 문제가 많은 사람들을 미국에 떠넘기고 있다. 마약과 범죄, 강간범을 보낸다."고 말했다. 발언의 진실은 중요하지 않다. 권위주의 성향의 유권자들은 문제를 제기하고 해결책을 제시한 지도자에게 끌리게 된다.
3.3. 권위주의적 지도자의 특징
권위주의가 강한 리더로 헝가리의 빅토르 오르반(Viktor Orban),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Narendra Modi)를 들 수 있다. 이런 지도자들은 민족주의적이며 표퓰리스트적인 정책을 추구한다. 그들은 사회에 문제적인 집단이 있고 그들이 자신들을 방해하고 삶을 파괴할 것이라고 말한다. 강한 지도자인 자신들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4. 권위주의가 민주주의와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협에 직면한 권위주의자들은 민주주의와 시민의 자유에 대한 제한을 수용할 의향이 있다.
- 민주적 가치의 포기
- 권위주의적 정당으로의 정렬(Sorting)
5. 결론 및 제언
본 강연은 개인의 성격 특성, 특히 권위주의적 성향이 정치적 선호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사회적 위협이 고조될 때, 권위주의적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강력한 지도자를 지지하고, 포퓰리즘적이고 국가주의적인 정책에 끌리며, 심지어 민주적 가치와 시민의 자유를 제한하는 것까지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미국에서 권위주의자들이 공화당으로 정렬하는 권위주의적 분류를 통해 명확히 드러났다.
민주주의의 건강을 위해서는 시민들의 지속적인 정치 참여와 열린 소통이 필수적이다. 서로의 견해를 존중하고 경청하는 시민적 참여를 통해 더 나은 정부와 민주주의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참고영상]
"레오니 허디 〈정치의 심리학〉04. 권위주의 정부의 지지자들", EBS, 2025년 2월 5일
강사: 레오니 허디(Leonie Huddy)
- 뉴욕 스토니브룩대 정치학과 석좌 교수
- 미국 전국 선거 연구 이사회
- 전 국제 정치심리학회 학회장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