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이번 글은 레오니 허디 교수의 강연을 바탕으로 정치적 정체성, 당파성, 양극화의 주요 테마와 핵심 개념을 정리합니다. 특히 현대 사회에서 심화되는 정치적 반목의 원인과 결과를 분석하고, 이에 대한 잠재적 해결책을 모색합니다.
1. 정치적 정체성의 형성 및 영향
사람들은 인종, 민족, 종교, 지역 등 사회적 정체성을 기반으로 집단 정체성을 형성하며, 이를 정치적 선호도로 전환한다. 이러한 정치 행동이 투표에 그치지 않고 개인과 집단의 정체성이 된다.
1.1. 정체성의 깊이
"당신은 자신을 어떻게 생각합니까?"와 같은 설문조사 질문을 통해 연구자들은 개인이 특정 정당에 얼마나 강하게 자신을 동일시하는지 파악한다. 일부는 "매우 강하게 동일시"하며, 어떤 이들은 "상대적으로 무관심"하다. 강한 정체성은 유권자의 투표 행동에 매우 강력한 예측 변수가 된다.
1.2.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하게 동일시하는 사람들은 당의 지시를 따르고, 당의 입장을 지지하며, 당 지도자들에게 투표하고, 당의 견해에 도전할 수 있는 정보를 방어적으로 처리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1.3. 당파성 분류(Partisan Sorting)
릴리 메이슨(Lily Mason)의 연구에 따르면, 종교, 인종, 민족성, 지역 등 다양한 사회적 정체성이 특정 정치 정당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정렬(converge)될 때 당파적 정체성은 훨씬 강해진다. 이는 사람들이 단순히 정치 정당을 방어하는 것을 넘어 자신의 민족성, 지역, 종교를 방어하는 것으로 인식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2. 강한 당파성의 긍정적 및 부정적 측면
강한 당파적 정체성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동시에 가진다.
2.1. 긍정적 측면: 정치 참여 증대
강한 정체성을 가진 사람들은 선거에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그들은 행동에 나서고, 정치 후보에게 돈을 기부하며, 그들을 위해 일한다.
2.2. 부정적 측면: 방어적 추론과 정보 왜곡
- 방어적 추론(Defensive Reasoning): 당파성이 강하면 강할수록 방어적인 태도를 보인다.
- 정보 습득의 목적: 강한 당파성을 가진 사람들은 정보를 얻는 목적이 자신의 입장을 방어하기 위함이며, 자신의 입장을 반박할 수 있는 새로운 정보에는 개방적이지 않다. 이는 정보 부족 때문이 아니라 사람들이 "동기 부여된 추론(motivated reasoning)"을 통해 자신의 입장을 방어하는 방법을 배우기 때문이다.
- 정보 회피 및 반박: 다른 관점에 노출되기를 거부한다. 다른 관점을 적극적으로 반박한다.
2.3. 위험한 결과 (코로나19 백신 예시)
미국에서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정치적 견해 차이는 특정 지역의 백신 접종률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사망률에도 영향을 주었다. 이는 정치적 신념을 유지하기 위해 높은 대가를 치르는 위험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3. 가짜 뉴스 공유와 정체성 행동
허디 교수와 조셉 샌더(Joseph Sander)의 최근 연구는 강한 당파성이 가짜 뉴스 공유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3.1. 진위 여부보다 정체성
연구 결과, 강한 당파성을 가진 사람들은 해당 정보가 사실이든 아니든 상대방에 대한 부정적인 정보를 기꺼이 공유하려 했다. 심지어 많은 사람들이 해당 정보가 사실이 아니라는 것을 알면서도 공유했다.
3.2. 재미와 유머의 역할
가짜 정보를 공유하는 이유를 물었을 때, 응답자들은 "재미있어요", "우스꽝스러워요"라고 답했다. 이는 다른 당원들에게 자신이 훌륭한 당원임을 보여주고, 함께 상대방을 비웃으며 유대감을 강화하는 정체성 행동(identity behavior)의 한 형태이다.
3.3. 정확성 교육의 한계
사람들에게 정확한 정보만 공유하라고 말하는 것은 아무것도 바꾸지 못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것이 정확하지 않다는 것을 알고 있으며, 그것이 공유하는 이유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들은 정체성 관련 이유로 그것을 공유하고 있다.
4. 정서적 양극화(Affective Polarization)
정서적 양극화는 정치적 반대자를 점점 더 증오하게 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내집단 충성심이 정치적 반대자에 대한 적대감으로 바뀌게 되는 것이다.
- 미국 정치의 심화: 지난 수십 년간 미국 정치에서 내 정당은 훌륭하지만, 상대방은 싫다는 정서적 양극화가 극적으로 증가했다.
- 사회적 분류의 결과: 릴리 메이슨의 견해에 따르면, 정체성이 정치 정당으로 분류되면서 이러한 적대감이 증폭되었다. 이는 서로 다른 민족, 인종, 종교를 가진 사람들에 대한 적대감을 낳고 있다.
- 전 세계적 현상: 이러한 양극화는 미국 뿐만 아니라 서유럽과 다른 지역에서도 심화되고 있는 매우 부정적인 현상이다.
5. 양극화 감소 방안
정치적 반목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이론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쉬운 해결책은 없다.
- 반대되는 정치적 견해를 가진 사람과 접촉 시도
- 지도자가 대중에게 하는 수사적 표현 완화
[참고영상]
"레오니 허디 〈정치의 심리학〉03. 왜 반대편을 혐오하는가", EBS, 2025년 2월 3일
강사: 레오니 허디(Leonie Huddy)
- 뉴욕 스토니브룩대 정치학과 석좌 교수
- 미국 전국 선거 연구 이사회
- 전 국제 정치심리학회 학회장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