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025의 게시물 표시

[경제] 포르투갈과 에스파냐 - 자본주의의 시작

안녕하세요. 모든 노트입니다. 흔히 대항해시대하면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를 떠올리게 됩니다. 지리경제학 측면에서 보면 대항해시대의 포르투갈과 에스파냐는 자본주의의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킨 두 국가가 어떻게 대항해시대를 거쳐서 상업 자본주의를 태동시켰는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경제지리학과 경제학 경제학은 경제의 보편 법칙을 발견하는 것을 지향한다. 경제지리학은 지리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경제학 분야이다. 입지 조건이 바뀌면 인문 사회 현상도 바뀐다. 2. 자본주의의 중요 요소 무역 인류는 아주 오래전부터 장거리 무역을 해 왔다. 대표적인 예가 실크로드(Silk Road, 기원전 2세기~서기 15세기 중반 사용된 유라시아 무역망) 자본주의에서 무역이 중요하기는 하지만 무역이 곧 자본주의는 아니다. 3. 자본주의 경제 요소 사유재산의 자유 보장 자본 재생산, 재축적 매커니즘 확립 4. 자본주의의 시초 서구식 자본주의가 온전한 자본주의이다. 자본주의 발전단계는 신항로 개척 → 상업 자본주의 형성 → 온전한 자본주의 형성의 단계를 거친다. 신항로의 개척이 자본주의의 시초가 된 이유 팍스 몽골리아 시대에는 무역이 활성화되어 유럽인도 비단, 향신료 등 사치품을 즐기게 되었다. 몽골 제국 쇠퇴후 오스만 제국이 부상했으나 유라시아를 완전히 지배하지는 못했다. 오스만 제국이 부상하면서 동양으로 가는 육로가 막히게 되었다. 오스만 제국은 실크로드를 통해 수출되는 상품에 과도한 세금을 매겼다. 오스만 제국을 우회하는 아시아로의 무역 루트 개발이 필요해졌다. 유럽의 서쪽 끝 이베리아 반도에서 정반대의 지리적 변화가 발생하였다. 즉 레콘키스타(이베리아 반도에서 기독교 왕국들이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고 영토를 회복하는 과정)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이슬람을 축출한 후 군인들의 보상 문제가 발생하였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군인들 보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럽 진출을 꾀하기에는 프랑스, 이탈리아와 같은 강대국이 가로막고 있었다. ...

[투자] 고전에서 배우는 부자가 되는 법

 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본 글은 박소연 애널리스트의 강연 "고전에서 찾은 부의 비밀"을 바탕으로, 사마천의 '사기' 중 '화식열전'에 담긴 부와 성공에 대한 핵심 사상과 실용적인 조언들을 요약하였습니다. 2천 년 전의 고전이 현대 사회에 주는 통찰력을 중점적으로 다루어보겠습니다. 1. 돈에 대한 사마천의 통찰과 '화식열전'의 탄생 배경  사마천은 돈의 막강한 영향력을 일찍이 깨달았으며, 특히 자신의 비극적인 경험을 통해 돈의 중요성을 뼈저리게 느꼈다. 그는 부자가 아니었기에 궁형을 감수해야 했던 과거를 평생 한탄했다고 한다. 이러한 개인적인 경험은 '사기'의 '화식열전'이라는 특별한 편을 탄생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1.1. 돈의 힘 사마천은 "사람들은 자기보다 열 배 부자이면 그를 헐뜯지만 백 배 부자이면 그를 두려워하기 시작하고 천 배 부자이면 그의 심부름을 하게 되고 만 배 부자이면 그의 하인이 되니 그것이 만물의 이치다"라고 말하며 돈이 사회에서 가지는 압도적인 영향력을 강조했다. 이는 돈이 사람들의 태도와 관계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보여주는 섬뜩한 통찰이다.  1.2. 부의 본성  '화식열전'에는 "부는 사람의 본성이며 배우지 않아도 모두 바라는 것이다(富者人之情性 所不學而俱欲者也)"라는 문구가 실려 있다. 이는 부에 대한 욕망이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본성 중 하나 임을 2천 년 전에 이미 설파한 것으로, 시대를 초월한 인간 본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보여준다. 2. 부자가 되는 세 가지 핵심 비밀 (화식열전의 가르침)  2.1. 첫 번째 비밀  부자필용기승(富者必用奇勝): 자신만의 기이하고 독특한 방법을 활용하라.  세상에 남들이 다 아는 평범한 방법으로는 큰 부자가 되기 어렵다. '화식열전'은 부자가 된 사람들은 반드시 자신만의 특별한 방법을 사용했다고 강조한다. 이...

[투자] 지키는 투자의 중요성

 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이글은 박소연 애널리스트의 강연 '지키는 것도 투자다'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강연의 주요 내용은 투자에 있어서 시장의 흐름을 읽는 안목, 변화하는 1등 기업의 특성, 그리고 지키는 투자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장기 투자가 항상 정답은 아닐 수 있다는 점을 주장합니다. 1. 시장의 흐름과 투자 기회  1.1. 닷컴 버블과 IT 버블 붕괴  강연자는 기자 시절의 경험을 통해 닷컴 버블 당시 IT 기업과 벤처 기업 주식의 광풍, 그리고 이후 2001년을 기점으로 발생한 IT 버블 붕괴로 인한 투자자들의 손실을 설명한다. 이는 시장의 과열과 붕괴가 가져올 수 있는 위험을 보여준다.  1.2. 지나간 것에 대한 미련  강연자는 IT 버블 붕괴 후에도 많은 사람들이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IT 버블이 꺼졌다는 것을 인정하지 못한 시절이 있었음을 지적하였다. 이는 투자자들이 과거의 성공에 갇혀 새로운 기회를 놓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1.3. 새로운 기회의 부상 (중국발 투자 버블 및 BRICs)   IT 버블이 꺼진 후 중국이 세계 무역 기구인 WTO에 가입을 하면서 중국발 투자 버블이 태동했다. 이는 새로운 시장과 기회가 끊임없이 나타남을 시사한다. 2003년부터 2007년까지 중국발 투자 붐으로 코스피가 4배 상승한 사례는 시장의 트렌드를 읽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는 신흥국으로 2000년대 세계 경제를 이끌었다.  1.4. 산업 사이클의 중요성  모든 산업에는 사이클이 존재하며, 상승기나 하강기가 지속되는 산업은 없고, 적어도 한 번은 사이클이 돌아온다. 다만 산업별 사이클의 주기가 다르며, 사이클의 정점에 진입하는 투자를 경계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산업별 사이클은 다음과 같다. 선박(15~25년), 자동차(7~10년), IT 기기(2~3년) 2. '1등 기업'의 변화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