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everylecturenote입니다.
이 글은 왕보(王伯) 교수의 강연을 요약 및 분석하였다. 강연은 혼란스러운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을 위해 2500년 전 장자(莊子)의 철학을 소개하며, 특히 "무용지용(無用之用)", 즉 '쓸모없음의 쓸모'라는 역설적인 개념을 중심으로 장자의 독특한 삶의 방식과 사상을 조명한다.
1. 장자의 독특한 삶의 방식: 세속적 세계의 거부
강연은 대부분의 중국 철학자들이 현실 세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정치적 변화를 추구했던 "입세(入世)"적 삶을 살았던 것과 달리, 장자는 의식적으로 세속적이고 정치적인 세계를 거부하는 "출세(出世)"적 삶을 선택했음을 강조한다.
- 타 철학자와의 대조: 공자, 노자, 맹자와 같은 당대 철학자들은 혼란스러운 전국 시대를 안정시키고 백성들의 삶을 개선하고자 정치에 적극적으로 진출했다. 맹자의 경우 "출행할 때 수십 대의 수레와 수백 명이 따랐다"는 기록에서 보듯이, 그의 영향력과 정치 참여 의지를 엿볼 수 있다.
- 장자의 거부: 하지만 장자는 세속적인 세상이나 정치 세계를 의식적으로 거부했다. 사마천(司馬遷, B.C.145~87, 전한 시대의 역사가)은 "장자의 학문은 탐구하지 않은 분야가 없다"고 평가했는데 이는 장가가 그 시대의 모든 지식을 섭렵했다는 말이다. 초나라 왕은 장자에게 재상직을 제안하면서 초빙하려고 했지만 장자는 제안을 단호히 거절했다.
- 제물 소와 진흙 돼지 비유: 장자는 거절의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좋은 환경에서 사육되어 제물로 바쳐질 소"와 "진흙탕에서 굴러다니며 자유롭게 사는 돼지"를 비교하며, 장자는 자신이 "흙탕물에서 뒹구는 돼지가 될지언정, 제물로 끌려갈 소가 되기는 싫다"고 말했다. 이는 세속적인 유용함과 그에 따르는 위험성을 극명하게 보여준다.
2. "무용지용(無用之用)": 쓸모없는 것의 쓸모
장자 철학의 핵심 개념 중 하나는 '무용지용'이다. 이는 "모든 사람이 유용함을 추구하는 것"에 대한 장자의 반직관적인 이해를 제시한다.
2.1. 유용함의 해로움
장자는 유용함이 오히려 해로울 수 있음을 여러 예시를 통해 보여준다.
"여러 우물 중 가장 맛 좋은 물이 나오는 우물은 가장 먼저 물이 마른다."
"여러 나무 중 가장 곧은 나무는 가장 먼저 베어져 대들보로 사용된다."
2.2. 정치 세계의 위험성
장자는 정치 세계를 "후예(羿)의 과녁 앞에서 노는 것과 같다"에 비유한다. 고대 중국 신화 속 명궁인 후예의 사정거리 안에 있으면 언제든 죽음을 맞이할 수 있듯이, 정치 세계는 함정으로 가득하고 언제든 희생될 수 있는 위험한 공간이라고 보았다.
2.3. 자유와 자재
장자는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자유로운 세계"를 선호하며, 의식적으로 정치 세계를 회피하고 '무용함'을 선택했다.
3. 장자의 세계: 자연과의 교감과 정신적 풍요
장자의 저작을 읽으면 맹자의 저작에서 인간 중심적인 세계가 그려지는 것과 달리, 자연과 생명으로 가득 찬 세계가 펼쳐집니다.
3.1. 자연 중심적 시각
장자의 책에는 물고기, 새, 나비 등 다양한 동식물들이 등장하며, 독자들은 마치 동물원이나 식물원에 들어선 듯한 느낌을 받는다. 이는 장자가 인간 중심의 세속적 질서에서 벗어나 자연과 교감하는 삶을 지향했음을 보여준다.
3.2. 묘당과 산림의 대비
강연자는 중국 문화에서 중요한 두 가지 상징으로 묘당(廟堂)과 산림(山林)을 제시한다.
- 묘당: 권력과 부를 상징하는 세속적 세계.
- 산림: 철학자들이 의식적으로 개척한 세계로, 정신적 자유와 사유의 공간.
장자는 산림의 개척자로서, 세속적 정치 세계 외에 새로운 세계를, 입세적 삶 외에 새로운 삶의 방식을 개척했다.
4. 고독과 빈곤 속의 정신적 풍요
장자의 삶은 세속적 권력과 부를 거부했기에 필연적으로 고독하고 물질적으로는 빈곤했다.
- 고독한 행보: 맹자가 수많은 수행원과 함께 움직였던 것과 달리, 장자는 대부분의 시간을 홀로 산림 속을 걸었다고 묘사된다.
- 물질적 빈곤: 그의 삶은 상대적으로 빈곤한 삶으로 묘사되며, 얼굴색이 좋지 않고 때로는 식량이 부족하여 다른 사람에게 빌어 먹기도 했다는 기록이 있다.
- 선택된 고독과 빈곤: 그러나 이는 장자 스스로의 선택이었다. 빈곤한 상태에서 장자는 자신만의 독특한 정신과 삶을 표현할 수 있었다. 물질적으로 궁핍한 삶을 택하면 정신적인 삶의 중요성이 부각된다.
5. 장자 철학의 영향력과 그 이유
철학은 단순히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넘어 "왜 그렇게 살아야 하는가"에 대한 근본적인 이유를 제시해야 한다. 장자는 자신만의 독특한 삶의 방식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그 삶의 방식에 대한 심오한 철학적 이유를 제공했다.
6. 결론
장자는 단순한 은둔자가 아닌, 기존의 유용성 개념에 도전하고 세속적 삶의 한계와 위험성을 통찰하여 "무용지용"이라는 역설적인 철학을 통해 새로운 삶의 지평을 개척한 혁명적인 사상가임을 명확히 보여준다. 그의 삶과 사상은 물질적 유용성 만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에게 삶의 본질적인 가치와 자유로운 정신의 중요성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하며, 고독과 빈곤 속에서도 빛나는 정신적 풍요를 추구하는 삶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참고영상]
"왕보 <장자> 1강 무용지용: 쓸모없는 것이 진짜다", EBS, 1월 20일, 2025년
[저자]
왕보
- 북경대학교 부총장
- 북경대학교 철학과 교수 역임
- 북경대학교 옌칭 아카데미 부학장
- 중국 교육부 정강학자 석좌교수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