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 애자일 업무 관리 프로세스 구축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이번 글에서는 실리콘밸리 기업들이 추구하는 애자일 업무 관리 프로세스와 강력한 조직 문화를 구축하는 핵심 원칙 및 실천 방안에 대해서 알아볼 것이다.
1. 조직의 실행력을 높이는 애자일 업무 템플릿 사용법
실리콘밸리 기업들은 조직 전체가 성공의 기준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그 성공을 향해 빠르고 집중적으로 움직이는 실행 문화를 만들기 위해 애자일 업무 관리 프로세스를 운영한다. 핵심 도구는 애자일 업무 관리 템플릿이며, 이를 활용한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다.1.1. 명확한 업무 목표 설정(SMART 목표)과 성공 기준 명확화의 중요성
- Specific 구체적인
- Measurable 측정할 수 있는
- Achievable 달성할 수 있는
- Realistic 현실적인
- Time bound 기한이 있는
1.2. 실행 계획 수립 (역순 계획 및 조율)
- 목표 달성 시점부터 역순으로 계획: 최종 마감일부터 거꾸로 필요한 작업과 일정을 수립. 이렇게 하면 목표달성을 위한 체계적인 계획수립이 가능하다.
- 업무 범위 및 난이도 고려: 역순 계획 과정을 통해 업무 목표 달성에 필요한 일들의 범위와 난이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타당한 실행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 고유의 업무 오너 지정 및 협업: 각 업무마다 업무 오너를 지정하고, 협업이 필요한 업무도 템플릿에 포함하여 기재한다. 이후 협업 담당자와 일정을 조율하여 최종 실행 계획을 완성한다.
1.3. 목표진척 점검회의를 통해 진행상황 체크 (문제 해결 중심의 액티브한 방식)
- 신호등 제도 활용: 업무 오너는 회의 전 템플릿에 자신의 업무 진행 상황을 그린(문제없음), 옐로우(완료 어려울 수도 있음), 레드(마감일 지키기 어려움)로 표시한다.
- 문제 예측 및 해결 방안 제시: 옐로우나 레드일 경우, 업무 오너는 업무 지체 원인과 해결 방안을 템플릿에 기재해서 회의에 참여해야 한다.
- 리더의 역할: 리더는 문제 해결이 시급한 순서대로 회의를 진행하며, 업무를 지체시키는 원인을 제거하는데 집중해야 한다. 즉, 부하의 조력자로서 역할을 해야 한다.
1.4. 애자일 업무 프로세스의 효과 및 운영상의 유의점
- 효과
- 실행 중심 문화 구축: 이 프로세스를 사용하면 문제가 발생하기 전에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조직의 실행 속도가 빨라지고 실행 순서가 명확해져 실행 중심의 업무 문화가 만들어지게 된다.
- 성공의 의미 각인: 조직 구성원이 업무를 수행시 성공이란 무엇인가를 고민하게 만든다.
- 조직 구성원을 업무의 진정한 주인으로 만들어 준다.
- 유의점
- 업무 진척이 늦다고 조직 구성원을 챌린지하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조직의 리더는 부하 직원의 업무상 조력자 역할을 해야 함을 명심해야 한다.
- 업무 진척 상황으로 인사평가시 불이익을 주는 것은 금지해야 한다.
기업의 경영진들을 대상으로 성공적인 기업을 만드는 조직오퍼레이션 플라이휠을 교육하고 내부 운용 프로세스를 설계 및 컨설팅하는 더바른컴퍼니의 대표.
실리콘밸리의 현대캐피탈 Digital Innovation Hub의 Deputy Head 총책임자로 근무했으며 미국 시애틀에 있는 아마존에서 수석 기술 프로덕트 매니저로 활동하며 실리콘밸리 여러 기업의 오퍼레이션 노하우를 배우고 이를 실무에 직접 적용해왔다.
영국에서 핀테크 스타트업 스프레딧(Spreddit)을 창업했으며 국내 기술 스타트업 엑셀러레이터인 퓨처플레이(FuturePlay)에서 CFO로 근무, 한국 핀테크 산업 성장 정책과 규제에 관한 자문 활동도 했다.
2003년 영국 LSE에서 경제학 학사 과정을 First Class Honours로 수석 졸업 후 런던의 모건 스탠리와 브릿지포인트(Bridgepoint) 사모펀드에서 금융 전문가로 근무했으며 영국의 미술과 수예품 판매기업인 하비크래프트(HobbyCraft)의 이사회 옵저버(Board Observer)로 활동하기도 했다.
이외 싱가포르 소재 스타트업부트캠프(Startupbootcamp)의 멘토,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growth equity 투자 회사인 FTV Capital에서 코퍼레이트 어드바이저(Corporate Advisor)로도 활동했다.
현재 업무 방식을 표준화하고 프로세스로 정립하는 '프로세스 기반 기업 운영법'을 통해 기업이 직원들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최상의 성과를 이끌어낼 수 있도록 컨설팅과 교육, 강의 등을 활발하게 하고 있다.
댓글
댓글 쓰기